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무력 충돌 위기가 고조되면서 건설업계도 그 파장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수주량이 많지 않아 당장 큰 영향을 받지는 않겠지만,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경제제재가 본격화될 경우 러시아에 진출한 일부 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 또 가뜩이나 오른 건자재 가격이 더욱 급등하고 건설사의 주가 하락으로 자금 조달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반군이 대치하는 분쟁지역인 동남부 도시 마리우폴에서 22일(현지 시각) 주민들이 "마리우폴은 우크라이나 땅"을 외치는 집회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22일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 친(親) 러시아 세력이 자체적으로 세운 공화국 두 곳의 독립을 승인하고, 이곳에 러시아 평화유지군 파견을 지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진출 시도를 두고 강하게 대립해 온 미국은 즉각 반발했다. 무력 충돌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과 서방의 대(對)러시아 경제제재도 본격화될 것이 유력하다.

한국 건설업계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미칠 파급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우선 무력 충돌 발생 가능성이 큰 우크라이나에서는 별다른 타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현재 우크라이나에는 13개 한국 건설사가 18건, 총 3억1000만 달러어치의 사업을 수주한 상태다. 이 중 현재 시공 중인 사업은 6건 1002만 달러로 비중이 크지 않다.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일하던 한국인 건설 근로자 4명은 모두 인근 국가로 대피했다고 국토교통부가 22일 밝혔다.

건설업계가 주시하는 곳은 러시아다. 국토부는 “러시아에 있는 국내기업의 사업 현장은 분쟁지역과 떨어져 있어 정상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안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지만, 경제제재는 또 다른 문제다. 미국은 그동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강력한 경제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공언해왔다.

한국 건설업계는 러시아에서 88개사가 176건, 159억5000만 달러의 건설·토목 사업을 수주했다. 그중 실제로 시공이 진행 중인 사업은 18건 103억6100만 달러다. 시공 중인 사업 액수만 따져도 우크라이나의 1000배 수준이다.

업계는 미국과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가 실제로 이뤄질 경우 강도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결국 사업중단이나 철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해외건설협회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군사적으로 충돌할 경우 미국·유럽 등 서방 국가의 제재 강화로 수행 중이거나 수주 활동 중인 사업들이 중단되거나 철수해야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수준의 제재가 지속하더라도 현재 시공 중인 사업은 당장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으나, 철수에 대한 서방의 압박이 커지면 결국 철수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압박에도 철수하지 않는다면 러시아 진출 기업은 물론 연관 회사도 서방권의 경제 제재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해외건설협회는 예측했다.

해외건설협회는 또 만약 경제 제재가 송금 제한까지 했던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와 같은 수준이라면, 시공 중인 공사들도 기자재 수급이나 공사대금 수령이 어려워지고 러시아 정부가 발주한 사업을 신규 수주하는 길도 완전히 막힐 것이라고 했다.

현재 러시아의 주요 건설 사업장은 ▲DL이앤씨의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3271억원 규모) ▲현대엔지니어링의 가스 처리시설 EPC(설계·조달·시공) 프로젝트(1000억원 규모) ▲삼성엔지니어링의 발틱 에탄크래커 프로젝트의 설계·조달 사업(1조3721억원 규모) 등이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당장 대규모 무력 충돌이나 그에 따른 제재가 결정된 건 없다”면서 “현재는 모니터링에 집중하면서 여러 시나리오를 두고 대응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금 조달은 선제적으로 조치해둔 바가 있지만, 이미 투자하거나 아직 받지 못한 돈은 없어 일단 지켜보는 중”이라고 했다. 다만 지난해 12월 수주한 약 1조6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가스화학 플랜트 ‘발틱 콤플렉스 프로젝트’의 경우 발주처 국적이 중국이기 때문에 제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작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간접적인 후폭풍도 있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반도체 산업만큼 직접 타격을 입지는 않겠지만, 건설업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우선 건자재 인플레이션이 거론된다.

우크라이나 위기가 건자재에 곧바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유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석유화학 공정을 거치는 건자재에 가격 인상 압력이 될 수 있다. 이미 철근과 H형강, 알폼 등 자재들이 지난해에만 45∼50%가량 인상된 데 이어, 레미콘의 주재료인 시멘트 가격도 지난해 이맘때에 비해 20% 넘게 올랐다. 또 우크라이나가 세계적인 밀 생산국인 만큼 식자재 가격도 올릴 것이 유력해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할 가능성이 크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세계 3차대전’까지 언급한 만큼 전 세계적으로 출렁이는 증시도 악재 요인이다. 전날 코스피 시장이 2706.79로 37.01포인트(1.35%) 하락한 가운데, 삼성물산(028260), 현대건설(000720), DL이앤씨(375500), 대우건설(047040) 등 주요 건설사들의 하락폭은 코스피 평균보다 컸다. 김영덕 연구원은 “건설사 주가가 하락하면 자본 조달이 어려워져 건설투자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