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임대아파트 입주를 노린다면, 우선 광진구로 전입신고하세요.”

서울아산병원에서 바라본 서울 광진구의 모습. /고성민 기자

17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임대주택 관련 커뮤니티에선 이같은 조언이 청약 성공률을 높이는 공식으로 통하고 있다. 실제로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급하는 국민임대아파트 청약을 노린다면, 광진구로 전입하는 것이 당첨에 유리하다.

지난해 SH공사가 공급한 전용면적 50㎡ 미만 국민임대아파트 물량을 구(區)별로 살펴보면, 강동구(2632가구), 강서구(647가구), 송파구(381가구), 마포구(104가구), 구로구(101가구) 순으로 공급량이 많았다. 광진구는 공급이 없었다.

그런데 광진구는 1순위 기회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전용 50㎡ 미만 연간 공급량 4147가구 가운데 3041가구(73%)에 1순위가 주어졌다. 전용 50㎡ 미만 국민임대는 1순위가 구별로 나뉘는데, 해당 자치구와 맞닿은 구에도 1순위 자격을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강동구 고덕리엔파크는 1순위가 강동·광진·송파구 주민이다. 2순위는 이외 서울의 자치구 주민이다. 양천구 신정이펜하우스는 1순위가 양천·강서·구로·영등포구 주민이다. 2순위는 이외 서울의 자치구 주민이다.

연접구끼리 서로 1순위 기회를 주고받은 것인데, SH공사가 보유한 국민임대 물량이 구별로 비슷하지 않고 편차가 커 수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광진구의 경우 강동·송파·강남·중랑·성동구가 연접구인데, 강동구와 송파구에 물량이 쏠려 있어 수혜가 극대화됐다.

SH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SH가 보유한 국민임대는 총 2만8792가구로, 이 가운데 강동구(5896가구)와 송파구(5097가구)의 물량이 가장 많다. 이어 강서구(4478가구), 구로구(2821가구), 서초구(1898가구), 은평구(1760가구), 마포구(1738가구), 강남구(1403가구), 중랑구(1147가구), 양천구(923가구), 성동구(400가구), 성북구(254가구), 노원구(115가구) 순이다. 강동·송파·강남·중랑·성동구의 물량은 전체의 48%(1만3943가구)로, 광진구민은 SH 국민임대 물량의 절반가량을 1순위로 지원할 수 있는 셈이다.

국민임대아파트는 장기임대주택으로 최대 3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소득 기준이 까다로워 2년마다 자격심사를 거쳐 입주 연장 여부가 결정된다. 소득 기준을 초과해 퇴거 조치를 받거나 임차인이 스스로 해약하는 경우, 30년 만기가 채워졌을 때 새로운 입주자 모집이 이뤄진다. 공급물량이 기존 임차인 상황에 따라 탄력적이라 예측이 어렵다는 얘기인데, 애초 SH공사의 보유 물량이 강동구(5896가구)와 송파구(5097가구)에 쏠린 만큼 두 곳에 1순위로 지원 가능한 광진구의 청약 기회가 많다는 예상이다.

이같은 ‘연접구 1순위’ 제도는 2019년 도입됐다. 원래는 전용 50㎡ 미만 국민임대 공급 시 1순위가 해당 자치구, 2순위가 연접구였다. 시는 SH공사가 공급하는 국민임대아파트 물량이 편중돼있다는 지적에 따라 연접구에도 1순위를 주도록 선정기준을 바꿨다. 광진구와 강북구, 관악구, 동작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용산구 등 12개구에는 국민임대 물량이 전혀 없어서다.

집값과 전셋값이 급등하며 국민임대 경쟁률이 높아지자, 입주 희망자들은 온라인 임대주택 커뮤니티에 “강동구와 송파구에 1순위로 지원할 수 있는 광진구는 축복의 지역”, “성동구와 광진구는 바로 옆인데도 1순위 기회 차이가 너무 심하다”는 등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민임대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 구성원으로, 가구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세대 총자산이 2억9200만원 이하, 보유 자동차 가액이 3496만원 이하일 경우 지원할 수 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는 4인 가구 기준 496만5944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