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과 소득이 낮은 취약차주 10명 중 4명은 30대 이하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자상환 부담이 불어나자, 청년층을 중심으로 빚을 내서 빚을 갚는 ‘빚 돌려막기’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에 달했다.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모습. 2023.2.9/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한국은행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한다.

지난해 전체 취약차주 수는 6만명 증가했는데, 30대 이하 취약차주 수는 같은 기간 4만명 늘어나는 등 증가 속도가 유독 가팔랐다. 60세 이상 취약차주도 1년 사이 2만명 증가한 19만명으로 전체 취약차주의 15.1%를 차지했다. 전체 취약차주 절반 이상이 30세 이하, 60세 이상인 셈이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9000억원으로 1년전(92조8000억원)보다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이 7조8000억원 줄면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첫 디레버리징(deleveraging·부채 축소)이 나타난 것과는 대조되는 흐름이다. 대부분 가계가 부채 축소에 나섰지만 취약차주는 오히려 빚을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고금리 기조 속에서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한 가계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말 가계대출 연체액도 늘었다. 연체율은 연령대별 30일 이상 연체잔액 합계를 연령대별 30일 이상 대출잔액 합계로 나눈 값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각각 0.1%포인트씩 상승했다.

특히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연체가 급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1.1%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다중채무자의 연체액은 6조4000억원으로, 1년 전(5조1000억원)과 비교해 1조3000억원 늘었다.

저축은행 소액신용대출의 경우 지난해 연체율이 6.5%에 달했다.

진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고금리의 물가안정 순기능은 체감되지 않고 공공요금 인상, 외식비용 등의 생계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국민의 이자부담을 낮추는 민생금융 위기대응책 시행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