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내년 물가상승률이 상고하저(上高下低) 흐름을 나타내면서 점차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물가상승률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웃도는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다수 금통위원은 우리나라 최종금리 수준을 연 3.5%로 예상했는데, 이 총재는 “기준금리 3.5%는 전제가 바뀌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중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 2%로 수렴하고 있다고 판단되고, 단기 물가상승률이 안정되는 추세가 데이터로 나타나면 현재의 금리 인상 기조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고 시사한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열린 2022년 하반기 물가설명회에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뉴스1

이 총재는 20일 오전 열린 ‘물가안정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의 통화정책방향에 대해서는 다음 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보다 자세히 논의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 관련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앞으로 발표되는 데이터를 통해 그간의 정책이 국내 경기 둔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 정책금리 변화도 함께 고려하면서 정교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른 금융안정 저하 가능성, 우리 경제 각 부문에 미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에 대해서도 각별히 살펴보겠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11월 기준 5.1%로, 연간 기준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수준(4.7%)을 넘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7.5%) 이후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초 3%대에서 출발한 물가상승률은 이후 가파르게 상승해 7월에 6.3%에서 정점을 찍었고, 하반기 들어 5%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 총재는 “올해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목표 수준을 큰 폭 상회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인상하면서 우리 국민도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이런 정책 대응이 없었다면 향후 국민경제에 더 큰 비용을 초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음을 이해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한국은행은 내년 초까지 물가상승률이 5% 안팎의 높은 수준을 이어가겠지만, 에너지 가격이 안정되고 국내외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오름세는 점차 둔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총재는 “최근에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다소 진정되는 등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다”고 했다.

한국은행은 산유국의 감산, 여전히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내년중 전기요금 인상폭 확대 가능성 등이 고물가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고 봤다. 동시에 국제유가가 최근 배럴당 70달러대로 낮아진 데다, 부동산 경기 위축 등에 따른 수요측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물가상승률 둔화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빨리 안정세를 찾아갈 경우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 횟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11월 금통위 당시 금통위원 다수가 기준금리 3.5%를 예상하고 있다는 의견으로, 투명성을 위한 소통의 차원이지 한국은행의 약속이 아니다”라고 했다.

지난달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당시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중 3명은 최종금리 연 3.5% 정도가 바람직하다고 봤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이를 두고 한국은행이 내년에 최소 1회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총재는 “11월 경제 데이터만 보면 다수 금통위원들이 기준금리 연 3.5%면 과소 대응이나 과잉 대응이 아니라고 봤지만, 경제 상황이 변하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추가 인상 횟수나 인상폭이 경기 둔화 속도 등의 요인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의미다.

당장 내년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진 점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최근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경기 침체의 전조라는 해석에 대해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면서도 “내년 상반기에는 경기가 많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내년 경제성장률을 1.7%로 예측했는데, 이는 경기 침체로 가느냐 마느냐의 경계선에 있다”고 했다.

다만 금리인하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금리인하는) 물가 오름세가 중장기 목표치(2%)에 수렴할 때 논의하는 것이지, 그 전까진 이르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