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만의 한국형 원전(原電) APR1400 수출을 위해 한국과 폴란드 양국이 협력의향서(LOI)·양해각서(MOU) 체결을 성사시킨 가운데, 폴란드 당국 책임자인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해당 체결이 본계약까지 갈 확률이 100%”라고 대답했다.

본계약 체결 후 본격적인 착공에 이르는 시기는 최대한 앞당겨도 2026년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올해 안에 원전 건설과 관련한 대략적인 기본 계획을 세운 뒤 입지 등에 대한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를 진행하고, 이르면 내년 연말쯤엔 본계약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표를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폴란드 국유재산부는 31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퐁트누프 원전 프로젝트’ 협력 MOU를 맺은 뒤 기자회견을 통해 각국 당국자가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서는 원전 건설업체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폴란드 전력공사(PGE), 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ZE PAK)이 이 지역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LOI를 체결하기도 했다.

이번 수출 계약이 성사되면 이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UAE(아랍에미리트) 이후 첫 한국형 원전 수출이다. 또 ‘탈원전 폐기’ 방침을 내세운 윤석열 정부의 첫 원전 수출이어서 더욱 상징적이다. 다만 폴란드 정부가 2026년 착공해 2043년까지 짓겠다고 공언한 원전 6기 건설 정부 사업의 사업자로는 미국 웨스팅하우스사가 선정됐다. 이는 ‘루비아토브-코팔리노 사업’으로 이번 협력 사업인 ‘퐁트누프 원전 프로젝트’와 별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폴란드 국유재산부가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31일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협력의향서를 교환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주호 한수원 사장, 피오르트 보츠니 제팍 사장, 이창양 산업부 장관,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 지그문트 솔라즈 제팍 회장,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 폴란드전력공사 사장. /연합뉴스

다음은 이창양 산업부 장관,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 황주호 한수원 사장과의 일문일답.

-정부간 MOU, 기업간 LOI 체결에 대한 각 나라의 의미에 대해 설명해 달라.

(사신 부총리) “폴란드의 안보에 있어서 원전과 방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 협력의향서는 중요한 문서라고 보고 있다. 폴란드 정부는 이번주 안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두가지 프로젝트를 실행, 발표할 예정인데, 하나는 미국과 하나는 한국과 건설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번 의향서 체결은 단지 시작 단계일뿐이다. 기업간 프로젝트이긴 하지만, 폴란드 정부는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이창양 장관) “우리나라 원전이 UAE 바라카 이후 13년 만에 유럽 시장에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국 원전의 우수성과 뛰어난 시공 능력이 국제적으로 입증되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거라고 생각한다. 폴란드는 유럽의 중심 국가다. 원전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 에너지나 다른 첨단산업 분야까지도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 거라고 본다. 폴란드가 긴 시간 유럽 내 우리의 파트너가 될 거라고 기대한다.”

-본계약 체결 시기를 언제쯤으로 잡고 있는지 궁금하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 “내년 연말쯤에 본계약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LOI 체결이 곧 계약을 확정하는 것은 아니지 않느냐. 본계약으로 가는 확률이 몇 퍼센트인지 제시해 달라.

(사신 부총리) “짧게 대답하자면 100%다. 다만 기업 경영진의 결정에 따라 다른 점이 있을 것이고, 앞으로 남은 일은 그들이 할 일이다.”

-그럼 착공 시기는 언제로 예상하나.

(이창양 장관) “보통 본계약 체결 이후 착공까지 2~3년 걸리는 것으로 안다. 원전 프로젝트마다 차이는 있지만, 지금 예상하기로는 2025~2026년 그 전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다만 정확히 언제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폴란드 측에서 빠르게 원전을 짓기를 원하기 때문에 가급적 빨리 진행하려고 한다.”

(사신 부총리) “저희 경험으로 봐서는 서류 작성 시간만 4~5년이 걸린다. (이창양 장관이 이야기한 착공 시점인) 2025년은 조금 빠듯하다고 생각한다.

-웨스팅하우스사가 한수원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것이 폴란드의 선택에 영향을 줬나.

(사신 부총리) “지적재산권 소송 제기와 관련해서 산업부 장관과도 논의를 한 부분이다. 폴란드도 대한민국 정부도 곧 (적절한) 판결이 나올 거라고 예상한다. 판결이 나온 뒤에도 협력을 유지하겠다.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의견 차이가 있고, 이는 기업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산업부 장관도 ‘기술적인 문제’라고 언급했다.”

-폴란드에서는 왜 굳이 정부와 민간 원전 사업을 분리해 차이를 두는 건가.

(사신 부총리) “두 프로젝트는 완전히 독립된 프로젝트라고 보면 된다. 분리 기준은 예산 지원 여부다. 정부 프로젝트라고 하는 것은 몇년 전부터 논의해 온 부분이다. 다만 이런 (예산) 차이를 제외하고 두 프로젝트에 대해 폴란드는 똑같이 지원해 나가겠다. 이번에 LOI를 맺은 건 한수원과 제팍, PGE이지만, 폴란드 정부가 모두 뒤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파이낸싱 모델에 대해 궁금하다.

(황주호 사장) “국내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통해서 우리 수출입은행이 상당 부분 지원을 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고, 이 외에 다양한 소스를 동원하게 될 거다.”

(이창양 장관) “현재 MOU 단계에서 건설 규모가 액수로 얼마인지, 파이낸싱이나 지분 구조 등을 미리 말하긴 곤란하다. 타당성 조사를 해야 나오는 사항이다. 다만 다수 지분은 폴란드 측이 가져가기로 했고, 저희는 폴란드보다 적은 지분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원전 건설 외에 향후 협력 방식이 어떻게 될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

(이창양 장관) “기본적으로 원전은 국가간의 사업이다. 원전 발전소 건설 자체뿐 아니라, 운용 기간까지 고려하면 (협력 기간은) 60년 이상이다. 이번 원전 건설을 계기로, 그 긴 기간 동안 폴란드 산업 부분에서의 협력도 많이 확대될 것으로 생각한다. 유럽 첨단 기술, 배터리, 수소 에너지 분야 등에서 앞으로 협력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