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0년 해양수산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70% 저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갯벌·바다숲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하는 블루카본(Blue Carbon)을 단계적으로 확충하기로 했다.

강원 강릉시 사천 앞바다에 하얀 요트가 떠 있다. / 연합뉴스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을 15일 발표했다. 제4차 계획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수립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오는 2026년까지 5개년 단위로 짜였다.

해수부는 “지난 3차 계획(2016-2020) 때와 비교해 강도·빈도가 동시에 증가하는 이상기후로 기후 위기의 심각성에 관한 경각심이 높아진 점,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논의가 빠르게 진전되는 점 등을 고려해 새로운 과제를 대폭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해수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해운·항만·수산업 전반에서 저탄소·무탄소 에너지원 사용을 확대하고 에너지 사용 효율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액화석유가스(LPG)·하이브리드 연료로 추진되는 저탄소 어선 연구개발(R&D)을 진행하고, 2026년부터 보급에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저탄소·무탄소 선박 기술 개발과 실증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우리 선박 기술이 국제해사기구(IMO) 등에서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해양 폐기물 전용 집하장과 연계된 해양 플라스틱 에너지화 시스템도 2025년부터 시범 보급한다.

온실가스 흡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블루카본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블루카본은 갯벌·잘피·염생식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과 퇴적물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의미한다. 육지의 대표적 탄소 흡수원인 산림은 날로 노후화해 탄소 흡수력이 떨어지는 추세인 반면 해양 생태계는 뛰어난 탄소 흡수 능력을 지녔음에도 상대적으로 연구가 덜 이뤄진 영역으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는 2500㎢에 이르는 갯벌을 보유한 나라다. 이 갯벌이 연간 26만톤(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는 국내에서 자동차 11만대가 1년 내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과 같다. 해수부는 갯벌 염생식물 군락을 2025년까지 15㎢, 2030년까지 105㎢를 복원하고 바다숲을 2025년까지 385㎢, 2030년까지 540㎢ 조성하겠다고 했다.

주요 국가 무역항을 수소 생산·유통·활용 거점으로 사용하는 ‘수소 항만 조성 방안’도 2024년까지 마련한다. 또 기후 변화로 잦아진 연안·해양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시스템도 정비한다. 한반도 인근 해역의 이상 현상 감시를 위해 20여 개의 관측망을 확충하는 한편 2030년까지 연안재해 조기 예·경보 시스템(가칭 ‘K-Ocean Watch’)을 구축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수산·어촌 기후위기 영향평가를 제도화하고, 연안침식을 유발한 사람에게 복구 의무를 부과하는 연안관리법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잦아지는 태풍·한파·폭염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극지·대양에 대한 연구도 강화해 2026년까지는 중장기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할 계획이다. 높은 파도, 폭풍해일 등 더 강화된 재해 기준을 적용해 2023년부터 항만 시설보강에 들어간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탄소중립이 산업계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더 심각해지는 기후재해로부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