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우리나라 인구의 90.8%가 전체 영토의 6.7% 면적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성장 불균형으로 지방도시는 소멸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인구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통계플러스 2022 여름호’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인구 규모가 큰 지자체일수록 도시가 커진 반면,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적은 지자체는 소멸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민국 도시, 준도시, 비도시 현황.(단위:%) /통계청 제공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적용해 인구 분포를 조사한 결과 한국 인구의 79.3%는 전체 면적의 3.8%에 해당하는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인구의 11.5%는 2.9% 면적에 해당하는 준도시에 거주, 전체 면적의 6.7%에 해당하는 도시와 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가 전체의 90.8%였다. 전체 면적의 93.3%를 차지하는 비도시지역에는 전체 인구의 9.2%만 거주 중이었다.

해당 기준에서 도시는 ‘인구 1500명 이상이 군집을 형성하고, 해당 군집의 인구가 5만명을 상회하는 지역’, 준도시는 ‘인구 300명 이상이 군집을 형성하고, 해당 군집의 인구가 5000명을 상회하는 지역’, 비도시는 도시와 준도시 이외의 지역을 말한다.

과거 20년간의 시계열로 도시 변화를 살펴보면 도시의 인구와 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준도시와 비도시의 면적과 인구는 축소됐다. 특히 인구 규모가 작은 지자체일수록 축소 현상이 심했다. 인구 하위 25%에 해당하는 63개 시군구는 2000년 74개 준도시 군집이 461㎢ 형성돼 있었으나, 2020년에는 62개 준도시 군집이 375㎢로 줄었다. 특히 정선이나 평창, 금산 등 11개 지자체에는 2000년까지 준도시 지역이 있었으나, 2020년에는 사라졌다.

연도별 도시·준도시·인구 변화 추이. /통계청 제공

급격한 도시화와 지역 간 불균형은 오래 전부터 불거진 문제지만, 최근 지방 소멸이 심각해지면서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구를 진행한 신우람 통계청 사무관은 “지역 내 도시기능이 축소되거나 소멸될 경우 지역 주민에게 필요한 생활인프라를 충분히 보장할 수 없게 되며, 결국 거주지로서의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며 “지역 내 소규모 도시와 준도시가 소멸되거나 규모가 급격히 축소되는 것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