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청정연료 기반의 무(無)탄소 발전을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을 효율화하는 연구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30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R&D) 예산의 30% 이상을 탄소중립에 투입한다.

11월 17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 2차 회의가 열리고 있다. / 연합뉴스

산업부는 17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탄소중립 산업전환 추진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에는 17개 중점 산업·에너지 분야에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을 단계별로 개발하는 내용이 담겼다.

세부 전략을 보면 발전용 가스터빈 연료를 청정연료(수소·암모니아)로 전환하고, 고(高)발전효율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하는 메가와트(㎿)급 복합 발전 등을 통해 탄소 없이도 발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또 2050년까지 태양광 입지 다변화 기술, 50년 이상 수명을 가진 풍력터빈 상용화, 기가와트(GW)급 해상풍력 전력망 통합기술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는 발전용 수소 혼소(혼합연소·50%) 및 분산전원용 수소 전소(100%) 가스 터빈 기술 등 청정연료 기반 무탄소 발전 기술을 개발한다. 또 태양광 결정질 실리콘 기반의 탠덤 모듈 상용화 기술 등 더 빠르게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에너지 전달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수소화·유연화·고효율화를 위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2050년까지 공급 최적화, 전력계통 인프라 혁신 등에 대한 R&D 투자를 집중적으로 한다. 산업 분야에서는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정유, 반도체·디스플레이, 일반산업(섬유·제지 등), 산업공통 설비(보일러·전동기 등) 등으로 나눠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 개발을 모색한다.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나프타 분해로를 전기가열 분해 공정으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시멘트는 소성 공정을 친환경 신열원 기반으로 바꾸기 위한 R&D가 단계별로 이뤄진다. 또 수송 분야에서는 친환경차와 관련해 탄소중립 대체연료 상용화를, 친환경 선박과 관련해서는 수소·암모니아 추진의 무탄소 선박 상용화가 목표다.

이밖에 산업부는 2050년까지 자원순환 혁신기술 상용화와 연 1500만톤(t) 규모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실증 등을 통한 CCUS 기술 상용화와 자립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업계와 협업해 마련한 탄소중립 지원 정책의 첫 단추”라고 했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전략에 따라 탄소중립 핵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R&D 예산을 지속해서 확대하는 한편 R&D 예산을 탄소중립 분야에 우선 투자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산업부는 관련 예산을 올해 8200억원에서 내년에 1조2000억원으로 대폭 증액했다. 2023년 이후에도 R&D 예산 구조조정 등을 통해 산업부 R&D 예산의 30% 이상을 탄소중립 분야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규모 기술 개발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서는 대형 예비타당성(예타) 조사를 하고, 기후대응기금 등도 활용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R&D 지원 체제도 성과와 현장, 국제 공동 R&D 중심으로 개편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