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간판.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당초 ‘2025년 경제정책 방향’에 따라 수립 예정이었던 ‘AI 컴퓨팅 인프라 종합대책’을 글로벌 AI 경쟁 심화와 중국 딥시크(DeepSeek)의 돌풍을 계기로 확대·보완한 것이다.

정부는 인공지능 패권 경쟁이 국가 차원의 총력전으로 전환된 상황에서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차세대 AI 모델 개발 ▲AI 전환 가속화 등 3대 추진 전략과 6대 핵심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국가 AI 컴퓨팅 인프라 마스터플랜을 가동해 ▲단기적으로 광주 AI 데이터센터와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2026년까지 1.8만 장 규모의 첨단 GPU를 확보하며 ▲2030년까지 국가 AI 컴퓨팅 센터 내 국산 AI 반도체 비중을 50%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 AI 인프라 투자 촉진을 위한 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AI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R&D 및 인프라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율을 최대 50%까지 확대한다.

독자적 AI 모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월드 베스트 LLM(WBL)’ 프로젝트를 신설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 언어 모델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AI 챌린지’를 개최하고, 입상자에게 창업 지원 및 AI 기업 취업 연계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고급 AI 인재 양성을 위해 기존 뉴욕 ‘AI 프론티어랩’을 유럽으로 확대하고, 국내 신진 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아울러, ’기업-대학 협력형 AI+X 대학원’을 신설해 AI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글로벌 우수 인재 유치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AI 전환 가속화를 위해 정부는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국산 AI 모델의 초기 시장을 창출하고, AI를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는 부처 협력형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AI 디지털 교과서 ▲맞춤형 의료·건강 관리 서비스 ▲AI 기반 법률 정보 제공 및 문서 작성 지원 ▲AI CCTV 활용 안전 서비스 ▲공공 협업 AI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인공지능 패권 경쟁이 국가 차원으로 확대되면서 대응 속도가 관건”이라며, “정부가 1년 늦어지면 경쟁력은 3년 뒤처진다는 각오로 인공지능 컴퓨팅 인프라 및 핵심 인재 육성에 전폭적인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