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전경./뉴스1

정부가 공공 분야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에 속도를 낸다. 행정안전부는 앞으로 모든 정부·공공기관에서 생성형 AI 도입 및 구축을 할 수 있도록 올해 말까지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정부 업무에 활용하라는 지시의 후속 조치로, 내년부터 정부·공공기관의 생성형 AI 도입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행안부 산하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최근 정부·공공기관의 생성형 AI 도입 적합 분야와 구축 방안 등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했다.

NIA 관계자는 “중앙부처와 산하 공공기관 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들이 생성형 AI를 도입 및 구축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만드려는 것”이라며 “연말 쯤 완성이 되면 그동안 생성형 AI를 도입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던 수많은 기관에게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는 사용자가 AI에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처럼 문장 형태로 답하는 기술이다. 챗GPT와 구글 ‘바드’와 같은 생성형 AI가 전 세계 산업계를 뒤흔드는 혁신기술로 급부상했다.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정보검색·검증 뿐 아니라 교육·연구·마케팅·일반사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를 효율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와 악수하고 있다./대통령실 제공.

이에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참모 회의와 각종 부처 업무보고 등에서 참모진에게 ‘챗GPT 사용법을 익히라’고 하고, 행안부에 모든 공무원이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행안부와 NIA는 민간 기업들의 생성형 AI 구축단계(기초모델 학습·전문모델 학습·테스트, 오류 수정·서비스 시작)를 참고, 각 공공분야별 도입 방안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 방안에는 ▲구축단계·도입방식(직접 구축, 민간서비스 이용 등)에 따른 소요비용 ▲필요한 학습데이터 규모·현행화를 고려한 학습데이터 구축방안 ▲생성형 AI 구축에 적합한 인프라 구성방안 등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담을 예정이다.

NIA 관계자는 “산업계에서 관련 기술을 앞서가고 있기 때문에 LG AI연구원, SK텔레콤, KT, 네이버 등 주요 기업들의 의견도 들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