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로고

챗GPT이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면서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 챗봇 선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양사는 검색 서비스를 넘어 전 사업 영역에 AI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8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은 MS가 챗GPT 기술을 도입하면서 위기감을 느낀 구글 모기업 알파벳이 AI 기술 도입에서 MS를 따라잡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를 위해 구글은 심각한 위기 경고를 뜻하는 ‘코드 레드’(code red)를 발령하고 사용자가 10억명 이상인 구글의 모든 주요 제품에 생성형 AI를 포함해야 한다는 지침을 내놓았다고 외신은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MS가 챗GPT 기술을 탑재한 검색엔진 빙의 새 버전을 내놓자 구글은 AI 챗봇 검색 서비스 ‘바드’를 빠르게 출시했다.

두 빅테크 기업이 AI를 두고 경쟁을 하면서 각 사의 전 사업 영역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구글은 바드 검색 서비스 외에 유튜브에도 AI 기능을 탑재해 크리에이터들이 영상으로 가상으로 옷을 갈아입거나 공상영화(SF) 같은 배경을 만들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MS는 기업용 소프트웨어에도 챗GPT 기술을 도입해 기업 판매·마케팅·고객 서비스 소프트웨어인 ‘다이내믹스 365 코파일럿’ 시범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렇듯 경쟁이 심화하면서 구글은 챗GPT와 MS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외신은 전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제품 기능의 세부 사항을 직접 거들고 있다는 소식도 외신은 전했다.

구글의 공동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도 전보다 더 회사에 관여하고 있고, 브린은 구글의 AI 챗봇 ‘바드’의 프로그램 코드를 수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외신에 따르면 구글 내부에서는 과거 소셜미디어(SNS) ‘구글 플러스’의 사례를 떠올리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기도 하다.

구글 플러스는 구글이 페이스북에 대항마로 사용자 간 메시지 전송, 뉴스·주제 공유 기능 등을 추가해 내놓았던 소셜미디어였으나 흥행에 실패하고 2019년 서비스를 종료했다.

한 전직 구글 임원은 구글 플러스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며 “당시 래리 페이지는 모든 제품에 소셜 요소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라고 했다.

구글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당시 구글 플러스는 모든 제품에 관여했으나, 현재 AI의 경우는 관련 프로젝트 담당자들만 추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도 AI 챗봇 시장에 잇달아 뛰어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