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이 5833위안(약 11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 1만위안(약 189만원) 월급의 ‘고소득자’는 전체 신입사원의 6.1%에 불과했다. 특히 중국에서도 월급이 다소 적을지라도 ‘워라밸’이 높은 직업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중국 계면신문은 컨설팅 업체 마이커쓰(麥可思)를 인용해 2021년에 입사한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이 5833위안으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중국 신입사원 평균 월급./계면신문 캡처

신입사원 월급을 구간별로 나눠보면, 4000~6000위안(약 76만~113만원)을 받는 신입사원이 38.4%로 가장 많았고, 6000~8000위안(약 113만~151만원)을 받는 신입사원은 23.7%였다. 1만위안 이상을 받는 신입사원은 6.1%에 그쳤다. 2020년 입사 신입사원(4.3%)보다는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적은 수준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중국 내에서 ‘고임금 업종’으로 꼽히는 분야에서도 신입사원이 1만 위안의 월급을 받기는 어렵다.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6781위안·약 128만원), 컴퓨터와 가전제품 등 전자 및 전기장비 제조업(6508위안·약 123만원), 운송업(6351위안·약 120만원), 금융업(6100위안·약 115만원) 등의 신입사원 월급은 6000위안대에 그쳤다.

다만 2018년에 입사한 3년차 소프트웨어 및 정보기술 서비스업 종사자의 경우 평균 월급이 1만691위안(약 202만원)으로 ‘1만위안’ 선을 넘어섰다.

도시별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4대 1선 도시의 평균 초봉이 7332위안(약 138만 원)으로, 중국 평균보다 25.7% 많았다.

중국 내에서도 ‘워라밸’ 직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2021년 신입사원 중 공안직, 법무직, 의료직, 연구원 등에 종사하는 이들의 취업 만족도는 77~8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매체는 “취업 준비 과정에서 지원자들이 가장 고민하는 부분은 연봉이 맞지만, 최근 몇년간 임금은 낮아도 행복도가 높은 직업이 인기를 끌고 있다”며 “점점 더 많은 직장인들이 개인의 삶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