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과 각국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여파로 최악의 상반기를 보냈으며 앞으로 더 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제임스 매킨토시 선임칼럼니스트의 분석을 인용해 “주식 시장은 끔찍한 상반기를 경험했고 더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 뉴욕 증시 거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 나오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실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올 상반기 21% 급락해 1970년 이후 52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고 10년물 미 국채 가격도 1980년 이후 최대폭인 10% 이상 떨어졌다. WSJ는 “투자자들이 지난 몇 달 동안 무시해왔던 위험은 경기 침체”라면서 “경제가 침체될지 개선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전했다.

JP모건의 글로벌 시장전략가 니콜라오스 파니거초글루는 “S&P 500 지수가 20% 넘게 하락했고, 과거 11번의 경기침체 때 평균 26% 하락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경기침체 가능성의 거의 80%가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WSJ는 “그러나 올해 들어 벌어진 주식 투매 현상의 상당 부분은 경기 침체 리스크가 아니라 연방준비제도(연준) 금리 인상의 직간접적 영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즉 경기침체 전망이 아직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 수 있다는 의미다.

WSJ는 6월까지 시장에서 지배적인 것은 성장주가 폭락한 반면 상대적으로 저가에 거래되고 있는 가치주는 기본적으로 괜찮았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이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침체 가능성을 인식하면서 경기순환주도 영향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다른 나라에서 불거진 경제 위기가 미국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WSJ에 따르면 헤지펀드들은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국채 금리 통제를 포기할 가능성에 크게 베팅하고 있다. 헤지펀드들의 예측이 맞는다면 일본 국채 금리가 치솟고 엔화가 강세로 돌아서면서 글로벌 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

유럽에서는 정치적 리스크가 크다. WSJ는 유럽중앙은행(ECB)이 이탈리아 재정 위기를 막기 위한 지원 계획을 약속했으나 북부 국가를 설득하는 어려운 작업을 수행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만약 충분한 자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이탈리아와 유로존 상황은 올 가을 다시 심각해 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