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업체 YMTC가 개발한 128단 낸드플래시 모습. /YMTC 제공

중국의 신생 반도체 국유기업이 일본 반도체 업계 거물급 인사를 영입해 중국의 첨단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섰다.

중국의 신생 반도체사인 성웨이쉬(昇維旭·SwaySure)는 최근 위챗 계정을 통해 일본인 사카모토 유키오를 최고전략책임자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올해 75세인 사카모토는 일본 유일의 D램 제조사이던 엘피다가 지난 2012년 파산보호를 신청해 법정관리에 들어갈 때 사장을 지낸 인물로 일본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거물급 인사다.

일본은 지난 2013년 엘피다가 미국 마이크론사에 인수되면서 세계 D램 시장에서 변방으로 밀렸지만, 사카모토는 중국의 ‘반도체 항모’로 불리는 칭화유니그룹의 부총재를 잠시 역임했다.

그는 회사 위챗 계정에 게시된 성명에서 “성웨이쉬는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새 메모리 기술, 풍부한 자금력, 실력 있는 정예 인력을 보유해 향후 매우 큰 발전 잠재력이 있다”며 “여기의 일이 내 인생의 마지막 업무가 될 것이기에 회사가 전략적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 치차차에 따르면, 성웨이쉬는 지난 3월 선전시 산하 국유펀드의 100% 투자로 설립됐으며 등록 자본금은 50억 위안(9700억원)이다. 성웨이쉬는 반도체 설계에서 공장 운영 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경험이 풍부한 인재를 확보했으며 향후 데이터센터와 스마트폰 등에 공급되는 D램 반도체가 주력 상품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성웨이쉬의 류샤오창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에서 공장장 등을 지낸 고위 기술자로, 3년 전 홍콩 대학에서 강의를 할 것이라면서 TSMC를 떠났다.

업계에서는 중국이 D램 분야에 진출하고 육성하기 위해 강력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평가한다.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선전 정부가 소유한 신생 반도체 업체가 일본 반도체 산업의 중량급 인사를 영입한 것은 미국과 한국의 플레이어들이 장악한 D램 시장에서 더 큰 점유율을 차지하려는 중국의 야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작년 세계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 3사의 시장 점유율이 94%에 달했다. 현재 중국에서 유일하게 D램을 양산하는 업체는 안후이성 정부 주도로 2016년 설립된 반도체 업체 창신메모리(CXMT·長鑫存儲) 뿐이다.

과거 중국이 가장 큰 규모로 추진했던 푸젠성 소재 D램 업체인 푸젠진화는 미국이 마이크론의 기술 도용 문제를 제기하자 막대한 투자금만 날린 채 폐업했다. 우한훙신반도체제조(HSMC)도 중국이 20조원을 투자해 TSMC의 최고 기술자였던 장상이를 CEO로 영입했지만, 지난해 도산했다.

하지만 미중간 신냉전이 격화하는 와중에 중국이 아킬레스건이라 할 수 있는 반도체 산업을 전력으로 육성하고자 하면서 구체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21년 중국 내 반도체 집적회로(IC) 생산량은 3594억개로 전년보다 33.3% 증가했다. 증가율로는 두배가 늘었다.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중국판 TSMC’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가 지난해 미국의 제재 속에서도 첨단 미세공정의 관문으로 여겨지는 14㎚(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제품 양산을 시작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