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스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2%로, 지난 1998년 9월(9.3%) 이후 거의 3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경기 전망도 비관적이라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OECD는 12일 4월 회원국들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공개했다. 물가 상승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월 7.8%에서 3월 8.8%, 4월 9.2%로 기울기가 점차 가팔라졌다.

그 중에서도 식료품 물가 상승률은 4월 11.5%로 전달 10.0%보다 1.5%포인트 올라 인플레이션을 주도하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계속된 전쟁이 주요 곡물의 세계적 작황 부진, 공급망 혼란, 식량 보호주의 등과 맞물리면서 두 나라의 주산물인 밀을 비롯해 식료품 전반의 가격이 상승한 까닭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OECD 회원국의 서비스 물가 상승률도 3.9%에서 4.4%로 높아졌다. 에너지 물가 상승률은 32.5%로 상당히 높지만, 전달 33.7%와 비교하면 상승세가 둔화했다.

인플레이션은 회원국별로 온도 차가 있었다. 터키가 70.0% 상승해 압도적이었고 그 뒤로 에스토니아(18.9%), 리투아니아(16.8%), 체코(14.2%) 등 9개국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와 달리 이탈리아(6.0%), 스페인(8.3%), 미국(8.3%) 등 5개국은 전달과 비교해 상승률이 내렸다. 한국은 4.8%로 일본·스위스(각 2.5%), 이스라엘(4.0%) 다음으로 낮아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이같은 물가의 고공행진은 올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OECD는 최근 발표한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연간 OECD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8.8%로 제시했는데, 이는 지난 1988년 9.8% 이후 34년 만의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12월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4.4%였던 점을 감안하면 반년 만에 4.4%포인트나 상향 조정된 셈이다.

그럼에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오히려 하향 조정되고 있다. OECD는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 3.0%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치보다 1.5%포인트나 낮아진 수치다.

세계은행(WB)도 최근 “많은 나라에서 경기후퇴는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1%에서 2.9%로 1.2%포인트 내렸다. 경기후퇴는 통상 2개 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가리킨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 대다수가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하고 있거나 인상할 예정이어서 중앙은행발 경기후퇴 우려가 꾸준히 커지고 있다. 또 스태그플레이션까지는 아니더라도 경제 성장세 둔화와 고물가가 맞물리는 ‘슬로우플레이션’이 현실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