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랜섬웨어(사용자의 컴퓨터에 접근해 시스템을 차단하고 금품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해 정부차원의 강경대응을 예고했다. 이와 함께 자국 기업들을 향해 보다 실질적인 방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랜섬웨어 공격에 감염돼 가동이 중단된 컴퓨터 화면.

6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 날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사이버 테러에 대해 기업들이 한층 더 예민하게 경계해야 한다고 인터뷰를 통해 촉구했다. 러몬도 장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랜섬웨어에 대해 ‘모든 선택지’를 고려하고 있다”며 “군사 대응까지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 압박을 가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어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달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만남에서 사이버 테러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이 지난주 발생한 세계 최대 정육업체 JBS 해킹사건을 비롯해 미국에서 최근 일어난 주요 사이버 테러 배후를 러시아로 지목하며 양국간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백악관은 오는 16일에 러시아에게 공식적으로 해명요구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에 해킹 전문가들은 미국이 해킹 세력을 색출하기 위해 컴퓨터 서버들을 다 해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정부는 기업들에게도 경계태세를 늦추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장관도 지난 5월에 발생한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해킹 사건을 예로 들며 정부차원의 해킹 방지 노력 외에도 기업들이 각자 사이버 보안에 대한 자구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미국 기업들은 랜섬웨어 공격에 노출되었을 때 테러세력과 협상을 해야하는지를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피해 기업과 단체들은 지불해야하는 금액보다 시스템 가동 중단에 따른 피해가 훨씬 크다는 점 때문에 돈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제니퍼 그랜홈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테러 세력에게 돈을 주는 것은 그들을 격려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면서 기업들이 만약 사이버 테러의 대상이 될 시에는 연방정부에 즉시 알리고 공격세력들에게는 절대로 값을 지불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최근 미국 내에서는 “사이버 테러 집단에게 돈을 지불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공화당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커지고 있어 당장의 규제는 어려울 전망이다.

앞서 미국에서는 지난달 7일(현지 시각) 미 최대 송유관 운영업체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가동을 멈췄고 440만달러(약 49억7000만원)을 지불하고 시스템을 복구시킨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