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0대 기업 중 73%는 여전히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재택근무의 생산성이 정상근무 대비 79% 정도 된다고 봤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이 해소돼도 재택근무를 활용할 것이라는 기업은 절반 정도였다. 전통적인 근무체계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는 기업들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근로기준법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8일 발표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재택근무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72.7%가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 수는 66개사로, 사무직 기준이다.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재택근무는 제외했다.

작년 3월 같은 조사에서는 재택근무를 시행 중이라는 답변이 91.5%였는데, 1년 만에 18.8%포인트(p) 낮아졌다. 경총은 “일부 기업들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 정부의 방역정책 완화에 맞춰 재택근무를 중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경총 제공

코로나19 확산 이후 재택근무를 시행한 적이 있지만, 현재는 하고 있지 않은 기업은 27.3%로 조사됐다. 이들 중 77.8%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재택근무를 중단했다고 답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재택근무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전면 출근에 따른 충격 완화 등 ‘단계적 일상회복 차원’이라는 응답(43.8%)이 가장 많았다. 이 외엔 ‘직원들의 재택근무 선호 반영’(20.8%),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재택근무 장려 지속’(16.7%)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재택근무를 시행 중인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은 ‘필요인원 선별 또는 신청’이 33.3%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엔 ‘교대 순환형’ 27.1%, ‘부서별 자율운영’ 25% 등으로 나타났다. 작년 조사의 경우 교대 순환형이 58.7%로 가장 많았는데, 올해는 업무 특성에 맞춰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전후 재택근무 비중 변화 여부에 대해서는 재택근무비율 하향 조정, 재택일수 감축 등을 통해 재택근무를 ‘축소’(39.6%)했다는 응답과 기존 수준을 ‘유지’(37.5%)했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다.

재택근무시 체감 업무생산성은 ‘정상근무 대비 90% 이상’이라는 평가가 29%였다. ‘80~89%’로 응답한 비중은 30.6%, ‘70~79%’는 21%, ‘70% 미만’은 19.4%로 각각 나타났다. 체감 업무생산성 전체 평균은 79%였다.

코로나19 위기 상황이 해소된 이후의 재택근무 활용·확산 전망에 대해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51.5%였다. ‘코로나19 해소 이후에도 재택근무가 활용‧확산될 것’이라는 응답은 48.5%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 사회의 일상 회복에 맞춰 기업들도 재택근무에서 사무실 출근의 비중을 높여가는 과도기인 것으로 보인다”며 “일하는 방식의 변화, 직원들의 재택근무 선호 등으로 인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자리로 출근하는 전통적인 근무체계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는 기업들도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하는 방식이 다양화되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근로시간 유연화, 성과중심 임금체계에 부합하는 우리 근로기준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