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이 됐으니 대출 이자 비용이 늘면서 단기 경영자금에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된 처지가 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로 0.25%포인트 인상한 14일 오전 한 중소 제조업체 A사 임원은 이렇게 토로했다. 그는 “원자재 가격이 최근 두자릿수 이상 급등한데다 부품 공급도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자까지 늘어나니 어떻게 버틸지 막막하게 됐다”라고 했다.

사진은 지난 3월 18일 서울 금천구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지역본부 상담실에서 한 중소기업 관계자가 긴급 경영안정지원금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뉴스1

물가를 잡고, 미국의 공격적 긴축 행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한은의 이 같은 조치로 중소·중견기업의 어려움도 가중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은은 올해 최소 두 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 인상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 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금리가 1% 인상될 경우 대기업의 대출금리는 0.57% 오르지만, 중소기업은 0.64%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정책 변화 시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이 대기업보다 크다는 것이다. 특히 섬유나 펄프·종이, 금속가공, 기타 제조업 등 중소기업 비중이 매출액 기준 65%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의 위기감은 더 커질 것으로 연구원은 관측했다. 이 산업 내 한계기업 비중도 10%를 웃돌고 있다.

박양균 중견기업연합회 정책본부장은 “중견기업은 이익이 나면 현금을 쌓아 놓고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곳이 있는가 하면, 금융기관 대출을 받는 곳도 있고 상황이 다양하다”라면서 “금융대출의 경우 신용등급에 따라 이자 부담 차이가 있는 만큼 등급이 나쁜 기업일수록 금리 인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하면서도 이에 따른 타격이 큰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핀셋 지원’이 절실하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수출기업은 그나마 상황이 낫지만, 내수기업, 소상공인의 경우 코로나19가 2년간 지속되면서 빚으로 버텨왔었다”라면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에서 나오는 경영안정자금(정책자금 대출)에 한해서는 금리 인상을 자제하는 식의 금융 지원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