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한국 스타트업이 속속 등장한다. 그중 일부는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기업)에 등극했고, 일부는 지난 3월 쿠팡의 뉴욕증시 상장처럼 더 큰 도약의 기회를 만들었다. K유니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질 수밖에 없는 시기다. 4차 산업혁명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각국의 국수주의 강화 행보 등 녹록지 않은 대내외 환경에서 K유니콘의 선전은 지속할 수 있을까. ‘이코노미조선’이 유니콘에 다가가는 열정 넘치는 창업자들을 만났다. [편집자 주]

이현무 아이유노미디어그룹 대표. 연세대 토목공학 / 아이유노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한국 스타트업 명단에는 쿠팡·우아한형제들처럼 우리에게 친숙한 회사만 있는 게 아니다. 영상 자막·더빙 업계로 넘어가면 올해 4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주도하는 비전펀드로부터 1억6000만달러(약 1800억원)를 투자받은 한 회사를 만나게 된다. 넷플릭스·디즈니·HBO·애플tv·아마존스튜디오 등 굵직한 고객사 리스트만 훑어봐도 1억6000만달러라는 숫자가 과분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한·일 월드컵 열기로 온 나라가 들썩이던 2002년 서울 신사동 먹자골목의 33㎡(10평)짜리 사무실에서 소규모 번역 회사로 출발한 이 업체는 17년 후인 2019년 유럽 자막·더빙 1위 BTI스튜디오를 사들였다. 그리고 올해 1월에는 미국 1위 기업이던 SDI미디어까지 인수하면서 이 분야 세계 1위 자리에 올라섰다. 이현무 창업자 겸 대표이사가 이끄는 아이유노미디어그룹(이하 아이유노)의 이야기다.

B2B(기업 간 거래) 기업이다 보니 대중에게는 낯설 수 있지만, 영상 자막·더빙 업계에서 아이유노의 존재감은 절대적이다. 한국을 비롯한 34개 국가에서 67개 지사를 운영하는 아이유노가 연간 처리하는 자막 규모는 60만 시간, 더빙 규모는 9만 시간에 이른다. 80개 넘는 언어를 소화한다. 2만 명 이상의 성우·번역가 풀과 인공지능(AI) 기술의 시너지가 방대한 작업량과 높은 완성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했다.

2018년 이 회사에 240억원을 투자한 소프트뱅크벤처스의 이준표 대표는 글로벌 무대에서 통할 유력 유니콘(기업 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기업) 후보로 망설임 없이 아이유노를 꼽았다. SDI미디어 인수 후 미국에 머무는 이현무 대표와 4월 27일 화상으로 만났다.

투자 이야기부터 해보자. 비전펀드가 아이유노의 어떤 매력에 베팅했다고 보나.

”전문 성우의 고급 언어로 생산되는 고품질의 더빙 데이터, 영화·드라마 콘텐츠 속 상황에 어울리는 자막 데이터 등을 아이유노만큼 방대하게 확보한 업체가 없다. 일단, 이 데이터 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평가가 좋았다고 본다. 데이터만 많은 게 아니라, 그 데이터를 토대로 자체 AI 번역 기술이 영상 콘텐츠 속 언어를 감각적이고 수준 높은 현지 언어로 바꿔 제공한다.”

AI 번역은 구글 같은 정보기술(IT) 기업이 잘하지 않나.

”구글 번역과 아이유노 번역은 성격이 다르다. 같은 맥락으로 이해해선 안 된다. 생각해보라. 드라마 같은 영상 콘텐츠에는 수많은 구어체가 쓰인다. 일반 문서 속 문장이라면 모를까 구어체를 구글 번역이 제대로 소화하기는 힘들다. 우리는 정확성을 요구하는 일반 번역이 아닌, 콘텐츠 내용과 어우러져 재미와 감동을 주는 번역을 하는 회사다. 오랜 시간 영상 콘텐츠 영역에서 관련 데이터를 쌓아온 덕에 가능한 일이다.”

그래도 AI가 인간 번역사의 감각을 이길 수 있을까.

”둘을 협력 관계로 이해해야 한다. 과거 번역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오타·오역을 최소화하는 것이었다. 자막의 경우 ‘시청자가 한 화면에서 읽기에 적당한 글자 수’와 같은 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는 사람이 일 잘한다는 말을 들었다. 지금은 이런 일을 다 AI가 한다. 인간은 기계가 해놓은 결과물을 토대로 고도화된 일을 한다. 예컨대 외국 유머를 한국인에게 통할 유머로 바꾸는 작업 같은 건 여전히 인간 번역사의 힘을 빌리는 편이 낫다. 로엔드 쪽은 AI가 맡고 인간 번역사는 하이엔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점점 갈 것이다.”

처음부터 IT 기반의 자막·더빙 업체를 목표로 했나.

”그런 건 아니지만 어린 시절 꿈이 발명가였고 모든 면에서 얼리어답터(early adopter·신기술을 남들보다 앞서 경험하려는 소비자)였다. 공대 출신이기도 하고. 이런 기질이 창업 후 장애물을 만날 때마다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을 찾게 한 것 같다. 미국 유학을 앞둔 2002년, 동료 2명과 용돈 벌이로 작은 번역 회사를 차린 게 아이유노의 시작이었다. 비디오테이프 돌려보면서 번역하던 시절인데, 그게 너무 비효율적으로 느껴져 자동 구간 반복되는 소프트웨어를 도입했다. 자막 입히는 일도 과거 방식이 너무 시간 낭비로 느껴져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런 식으로 하나하나 걸림돌을 제거하다 보니 여기까지 온 것이다.”

클라우드를 가장 먼저 적용한 회사도 아이유노라고 들었다.

”클라우드도 필요에 의해 도입한 경우다. 번역하는 사람과 감수하는 사람이 한곳에 모여서 일하는 게 아닌데, 가끔 마감 기한을 안 지키고 연락 두절되는 작업자가 있었다. 그러면 모든 공정이 중단됐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구축한 게 클라우드 작업 시스템이다. 지금은 번역·자막·감수 작업자가 한 화면에 모여 모든 과정을 공유하며 일한다.”

결과적으로 미래를 먼저 준비한 셈이 됐다.

”당면 과제를 해결하며 20년가량 버티다 보니 이 시장에 대한 나름의 통찰력이 생긴 듯하다. 넷플릭스 같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등장했을 때가 대표적인데, ‘조만간 지역 방송사는 퇴보하고 미국 중심의 OTT 업계 주문이 몰리겠다’라는 생각이 들더라. OTT 고객사 유치에 집중했고, 예상은 적중했다. 이런 큰 틀에서의 경영적 판단이 맞아떨어지자 업계 내 평판도 좋아졌다.”

2011년 해외 진출도 미래를 내다본 결정이었나.

”2002년부터 8년 동안 국내 사업을 하면서 빚만 생겼다. 2011년 싱가포르 진출은 사실 생존을 위한 결정이었다. 당시 다국적 방송사의 아시아 지사 70%가 싱가포르에 몰려 있었다. 기존 거래처였던 디스커버리를 시작으로 소니 픽처스 등과 계약을 맺으며 진출 국가를 늘렸다. 2018년 소프트뱅크벤처스의 투자(240억원)를 발판 삼아 유럽과 미국까지 넘어갔다. 한국을 떠나니 비로소 많은 기회가 열리더라. 후배 창업자들에게도 ‘과감하게 나가라’고 말하고 싶다.”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이다.

”시장에서 요구하는 캐파(생산 능력)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M&A가 필수다.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 이번 비전펀드 투자금의 일부도 M&A에 사용할 생각이다.”

어떤 회사로 남길 원하나.

”아이유노가 단순히 번역·더빙·자막만 취급하는 게 아니다. 어떤 영상 콘텐츠가 특정 국가나 플랫폼에 들어갈 때 요구되는 모든 사양에 맞춰 현지화한다. 해당 국가 언어를 입히는 것은 물론 문화적으로 수용되기 힘든 장면을 삭제하는 일도 한다. 물류에서의 아마존처럼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 회사로 기억되길 바란다.”

-더 많은 기사는 이코노미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

[넥스트 K유니콘] ①K유니콘의 부상과 과제

[넥스트 K유니콘] ②<Interview> 美 유니콘 즈위프트 창업자 에릭 민

[넥스트 K유니콘] ③<Interview> 박재욱 쏘카·VCNC 대표

[넥스트 K유니콘] ④<Infographic> 넥스트 K유니콘

[넥스트 K유니콘] ⑤<Interview> 김용현 당근마켓 대표

[넥스트 K유니콘] ⑥<Interview> 이현무 아이유노미디어그룹 대표

[넥스트 K유니콘] ⑦<Interview> 강현욱 비프로컴퍼니 대표

[넥스트 K유니콘] ⑧<Interview>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넥스트 K유니콘] ⑨<Interview> 네이슨 밀라드 G3파트너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