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건강·환경·동물 복지 등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도 대체 단백질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5일 발표한 ‘대체 단백질 식품 트렌드와 시사점’에 따르면 대체 단백질 식품 시장은 2035년 약 3000억달러(약 33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체육의 경우 2030년에 전세계 육류 시장의 30%를, 2040년에는 60%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미국 대체육 제조 업체 임파서블푸즈와 비욘드미트가 식물성 고기로 만든 칠리 치즈 프라이즈와 미트볼, 피자, 햄버거(왼쪽부터). 이들은 붉은빛을 내는 식물성 헤모글로빈을 이용해 진짜 고기의 맛과 향, 육즙까지 구현했다.

대체 단백질 식품은 동물성 단백질 식품을 제조할 때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원료 대신 식물 추출, 동물 세포 배양, 미생물 발효 방식을 통해 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맛과 식감을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무역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단백질 ‘재배·사육’ 시대에서 ‘추출·발효·배양’ 시대로 전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체 단백질 식품군 확대 ▲동물 세포 배양 방식 상용화 ▲기업간(B2B) 생태계 활성화 ▲중국 시장 공략 대두 등을 주요 트렌드로 꼽았다.

대체 단백질 식품의 원조격은 대체육 햄버거다. 2009년 비욘드미트가 식물성 대체육 햄버거 패티를 내놓은 이후 대체 단백질은 유제품, 해산물로도 확대되고 있다. 잇저스트는 2017년 녹두를 원료로 만든 달걀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3년 만에 1억 개 이상 판매했고 오션허거푸드는 토마토로 만든 참치, 가지로 만든 장어, 당근으로 만든 연어 제품 등을 개발하고 있다. 블루날루는 세포배양 방식으로 생선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특히 갈수록 대체 단백질의 생산비용이 줄고, 대량생산 설비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동물 세포 배양육은 2013년 최초 개발 당시 생산비용이 파운드(lb)당 120만달러였으나 현재 7.5달러까지 내렸다. 퓨처미트 테크놀로지, 멤피스 미트 등은 대규모 공장을 설립해 대량생산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식품·외식 기업들도 대체육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대체 단백질 기업들이 제품 판매뿐 아니라 대체육 개발 기술, 식품 원료 및 첨가제, 솔루션 등을 제공하며 기업간 네트워크와 협력도 확장세다. 성장 잠재력이 큰 중국의 경우 아직 대체육 제조 기술이 성숙하지 않아 기술 협력 수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김보경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대체육 생산비용의 절감과 중국 시장 수요 증대가 대체육 식품 시장 확대의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도 기업간 협력으로 대체육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중국 소비자 트렌드 분석과 유통망 확보를 통해 중국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