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사천에 위치한 500평 규모의 순수식품 물류센터. 연 매출 300억 원 규모 이 회사의 주력상품 건강과일즙과 콜라겐, 오메가3 등 건강기능식품이 쌓여있는 이곳에는 이베이코리아 스마일배송 차량과 기사들이 수시로 들락날락 하며 수도권으로 제품을 실어 나른다. 이 물류센터는 순수식품이 운영하지만, 이베이코리아의 배송거점으로도 활용된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순수식품은 G마켓으로 주문이 들어오면 일단 상품을 이베이코리아 동탄 물류센터로 보내야 했다. 그래야 이베이코리아가 제품 분류, 포장 등을 거쳐 소비자 집으로 배송했기 때문이다. 경남 사천에서 수도권까지 보내는 데 운송비도 상당히 많이 드는데다 재고 관리도 어려워 판매제품 수를 늘리고 싶어도 쉽지 않았다.

그러나 순수식품은 4월 이베이코리아가 도입한 셀러플렉스(Seller Flex)에 가입하며 이런 부담을 덜었다. 순수식품이 자체 물류센터에 제품을 준비해 두면 이베이코리아 스마일배송 직원들이 와서 제품을 가져간다. ‘판매자→오픈마켓 물류센터→소비자’로 이어지는 배송단계가 ‘판매자→소비자’로 단축됐다. 자체 물류센터를 가진 입점기업은 제품을 오픈마켓 물류센터에 입고시켜야 하는 중간 절차를 생략할 수 있게 됐다.

셀러플렉스는 판매자를 뜻하는 셀러(Seller)와 신축성이 있다는 의미의 플렉스(Flex)가 결합한 말이다. 벤더플렉스(Vendor Flex)라고도 한다. 물류 처리 과정에서 입점상인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이베이코리아의 한 물류센터. / 이베이코리아 제공

셀러플렉스는 미국 아마존이 지난 2013년 미국 소비재 기업인 P&G와 파트너십을 맺은 물류 협업 프로젝트로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아마존은 셀러플렉스를 시범 도입해 운영하다 2017년 50개 기업으로 확대 도입 했고 꾸준히 참여 기업을 늘리는 중이다. 아마존 인도는 지난달 자체 물류창고를 보유한 기업이 제3자에게 공간을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진화된 버전의 셀러플렉스, 멀티셀러플렉스(MSF)를 도입했다.

한국 이커머스 대표기업인 쿠팡과 이베이코리아도 셀러플렉스를 확대 도입하는 추세다. 두 회사는 2018년 셀러플렉스를 시범 도입한 뒤 참여기업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이베이코리아는 그동안 입점상인이 풀필먼트(상품 보관·포장, 출하, 배송 등 일괄 처리) 서비스를 통으로 계약하도록 하는 벤더플렉스를 운영하다 지난 4월 배송만 맡길 수 있는 셀러플렉스를 도입했다.

셀러플렉스는 오픈마켓과 입점상인 모두 비용을 절감하고 배송 속도는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픈마켓은 물류센터 임차나 매입, 운영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베이코리아는 국내 물류센터가 경기도 용인, 동탄, 인천 3곳 뿐이기 때문에 국내 오픈마켓 가운데 셀러플렉스 도입에 적극적이었다. 입점상인은 자체 보유한 물류센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배송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순수식품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는 이베이코리아 동탄 물류센터에 제품을 입고시켜야 했기 때문에 물류비, 재고관리 부담이 커 판매하는 상품 수가 30개에 불과했지만 셀러플렉스에 가입한 이후 70개로 늘렸다”며 “지난 5월 이베이코리아 대규모 할인행사인 빅스마일데이 매출이 전년 대비 20배 늘었다”고 말했다.

순수식품 외에 해산물 판매사인 비비수산, 순천만수산, 수입육 기업인 누리푸드, 킹크랩 등을 파는 은하수산 등이 이베이코리아 셀러플렉스에 가입했다. 유한킴벌리는 지난 2018년부터 작년까지 쿠팡과 벤더플렉스를 하다, 올해 이베이코리아와도 새로 시작했다. 이베이코리아에 따르면 셀러플렉스 매출은 4~7월 월평균 40%씩 증가했다. 현재 스마일배송 전체 매출의 7%를 차지하고 있다.

쿠팡의 경우 아예 입점기업의 공장에 직원을 상주시켜 제품 입고, 포장, 출고까지 담당하게 한다. 쿠팡의 벤더플렉스에는 현재 유한킴벌리와 화장지, 물티슈 등을 만드는 깨끗한나라, 아기물티슈 판매 브랜드 베베숲, 화장지와 미용티슈 등을 파는 모나리자, 맥콜과 천연사이다 등을 파는 일화 등이 가입한 것으로 확인된다.

쿠팡, 이베이코리아와 벤더플렉스를 진행중인 유한킴벌리의 김천공장 전경. / 유한킴벌리 제공

유한킴벌리의 한 관계자는 “쿠팡에서 하기스 기저귀, 크리넥스 화장지, 마스크 등의 주문이 들어오면 제품 입고·포장·출고 등의 작업을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에서 쿠팡이 담당하고 있다”며 “쿠팡 물류창고까지 제품을 운반할 필요가 없어 운송비를 줄일 수 있고 물류시간 단축에 따른 납품율 향상, 매출 증가, 고객 만족도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벤더플렉스 이용사인 일화의 한 관계자는 “쿠팡의 벤더플렉스는 담당 직원이 여러 기업을 맡는 게 아니라 일화만 전담하기 때문에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고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며 “제품 주문과 품절 여부 파악이 수월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응도 빠르게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쿠팡, 이베이코리아와 달리 자체 풀필먼트 기능이 없는 중소 이커머스는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매장을 일종의 물류센터로 활용하고 있다. 11번가와 위메프의 홈플러스 전용관에서 신선식품을 주문하면, 고객 주소와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이 출고된다. 물류 시스템 구축이 힘든 업체로선 다른 유통사의 오프라인 매장이 물류센터 역할을 대신하는 셈이다.

셀러플렉스 같은 이커머스 기업의 물류 효율화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커머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자체 물류센터를 보유하는 기업들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에서다. 물류센터 설립 수요가 늘며 부동산 가격도 오르는 추세다.

이지스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천안의 상업용 물류 부동산 거래규모는 4조4000억 원으로 전년도의 1.5배에 달했다. 매매가격은 전년 대비 7.8% 상승했으며 이런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추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