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폐업하는 예식장이 늘어나는 한편 장례식장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갈수록 나이를 먹는 한국 인구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결과라는 분석이다.
두 업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도 정반대의 결과를 보인 바 있다. 2021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19에 따라 사회적 거리 두기, 인원 제한 영향으로 예식 업계는 그야말로 최악의 해를 보냈다. 반면 장례식장은 코로나19로 증가한 사망자로 인해 며칠이 지나도록 장례를 치르지 못할 정도로 쉴 새 없이 바빴다.
◇혼인 감소로 해마다 줄어드는 예식장…예식할 곳 사라진다
25일 국세청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예식장은 총 742곳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 초만 해도 900여 곳에 달했지만, 3년 반 사이 150곳 이상이 문을 닫았다.
예식장은 최근 3년여간 매년 두 자리씩 사라지는 추세다. 2020년 65곳이 줄어든 것을 시작으로, 2021년 46곳, 지난해 33곳이 감소했다. 올 들어 6월까지도 12곳이 폐업했다. 이 기간 연간 기준과 월 기준 모두 전년보다 예식장 수가 늘어난 적은 단 차례도 없었다.
예식장이 줄어드는 것은 그만큼 혼인 수요가 감소한 탓이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1700건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후 가장 적었다. 국내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11년째 감소 추세며, 2019년부터는 매년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우는 중이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도 3.7명으로 역대 최저다.
20대와 30대 등 혼인 주 연령층의 결혼 인식 변화가 혼인 감소 배경으로 꼽힌다. 통계청이 진행한 사회조사 결과, 20대 응답자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한 비중은 35.1%에 그쳤다. 전 연령대 평균(50.0%)을 밑돌았다.
가뜩이나 줄어드는 혼인 수요에 코로나19가 맞물리며 예식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 2021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사회적 거리 두기와 실내 인원 제한 등 방역대책이 강화된 영향이 크다. 당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와 결혼식 참석 가능 인원이 49명(식사 미제공 시 99명)으로 제한되자, 결혼식을 미루는 사례가 속출하기도 했다.
◇고령화로 사망 인구 지속 증가…'기피 시설’ 장례식장 덩달아 늘어
장례식장은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장례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말 1083곳에서 2021년 1094곳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해 9월 기준 약 1100곳을 유지하고 있다. 소폭이기는 하지만, 장례식장 수 증가는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지역 사회 주민 반발 때문에 장례식장 건립이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다. 거주 지역 내 장례 시설이 새로 들어설 경우 주민들의 반감은 거세다. 한 상조회사는 지난 2019년부터 경기도 안양에 장례식장 설립을 추진했지만, 시에서 주민 반대를 우려해 건축허가를 반려하며 차일피일 미뤄졌다. 이에 상조회사는 법정 공방까지 벌인 뒤에야 조건부 동의를 끌어냈다.
한국장례협회 관계자는 “장례 시설은 혐오시설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특별시나 광역시 같은 대도시에서는 장례식장을 새로 설치하기 어려운 부문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장례식장은 지난해 밀려드는 사망자로 장례를 치르기 어려울 정도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해를 보냈다. 지난해 국내 사망자 수는 37만2939명으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인한 확진자와 사망자가 함께 늘어났기 때문이다. 수도권 내 한 장례식장 관계자는 “지난해 밀려드는 사망자로 안치실도 만석이었다”며 “장례가 끝난 뒤 화장장으로 가기 위해 며칠씩 기다리는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물가와 인건비 상승률을 고려하면 과거와 비교해 장례업계 사정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장례협회 관계자는 “20~30년 전과 비교해 관 가격은 거의 그대로이고, 장례 절차도 간소화됐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