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전체기사
8건
“제일모직이 잘해서 삼성전자도, 삼성SDI도 성장한 것 아닙니까. 회사를 키운 모태 사업을 등한시 하는 것 같아 억울합니다.” 15일 낮 12시 30분쯤, 경상북도 구미시 삼성물산 직물공장에서 만난 50대 직원 A씨는 “빈폴, 갤럭시 등 자사 브랜드 납품 원단을 구미 공장 것으로 사용하고, (임대료가 부담 된다면) 공장 부지도 삼성 SDI 내 부지가 아닌 구미 내 다른 부지를 찾으면 해결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직물공장 외부에 마련된 쉼터에서 담배를 태우던 30대 직원 B씨는 “집이 여기(구미)인데 서울, 부천으로 옮...
국군복지단은 군 마트(PX) 입찰에 나서는 업체들에 출품 제품들의 시장 가격을 오프라인 매장의 영수증으로 증빙하도록 요구한다. 업체들은 해당 제품의 심사 출품 이전 4개월 전의 시중 거래 실적과 상호가 다른 2개 이상 업체(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업체명으로 구분)의 금전출납기(POS) 영수증을 4개(지점별 구분) 제출해야 한다. 이 때 제출된 POS 영수증은 서류심사 평가에 반영된다. POS 영수증 평가는 업체 규모별로 배점이 다르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하나로클럽 등 대규모 점포는 영수증 하나당 2.5점, 롯데슈퍼와 G...
지난달 전역한 육군 교육사령부 소속 김모 예비역 병장은 전역을 앞두고 어머니와 통화를 하며 ‘혹시 영양크림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PX에서 달팽이크림이랑 마유크림, 다른 영양크림을 시중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판다. 필요하면 나갈 때 사가겠다”고 했다. 김 병장의 어머니는 “괜찮다”고 했지만, 김 병장은 뭐라도 사가고 싶은 마음에 영양크림을 몇 개 구입해 어머니와 주변 지인들에게 선물했다. 김 병장은 지인에게 선물을 주면서 “밖에선 20만원 정도 한다는데, PX에선 1만원도 안된다”라고 말했다. 작년부터는 신종 코로나 바...
2015년 3800억원 규모로 추산되던 글로벌 랜섬웨어(Ransomware) 피해금액은 올해 23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6년새 6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보안업계에선 5년 뒤인 2026년엔 글로벌 랜섬웨어 피해 금액이 84조3000억원, 2031년엔 312조70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한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시스템을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든 뒤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한다. 국내 피해 규모도 꾸준히 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지난 5월 세계 최대 정육업체 JBS의 미국 법인 JBS USA 전산망이 해킹 공격을 받았다. 이 공격으로 5월 30일 미국과 캐나다, 호주에 있는 JBS 일부 육류 가공 공장과 도축장이 멈춰섰다. 브라질 기업인 JBS는 미국을 비롯해 남미, 호주, 유럽 등 약 100여개국에 육류를 공급하는 세계 최대 정육업체다. 트레이 멀론 미시간주립대 농업학 교수에 따르면, 이 회사가 하루 문을 닫으면 미국 전체 하루 소고기 생산량의 4분의 1(소 2만마리분)이 사라질 수 있다. 실제 미국 농무부는 6월 1일 “미국 내 소 도축량이 1주일 전보...
2020년 11월 국제 해커 조직이 이랜드를 공격해 탈취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하며 4000만달러(한화 약 500억원)를 요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커 조직이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를 공격해 확보한 개인 정보를 ‘다크웹’을 통해 밀거래를 하는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기업에 직접적으로 금전을 요구한 적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해킹 공격을 ‘랜섬웨어’라고 부른다. 랜섬웨어는 몸값(ransom)과 악성코드(Malware)의 합성어로, 해킹 공격 후 몸값을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랜섬웨어 공격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내 데이터를 암호화해 못...
대형마트를 월 2회 강제로 문 닫도록 한 유통산업발전법(이하 유통법)이 제정된 지 10년이 됐지만, 법의 실효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경영계에서는 해당 규제가 오프라인 대형마트들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마트 주변 상권의 침체를 야기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소상공인 측에서는 해당 규제가 없었다면 골목 상권이 더 빠르게 붕괴했을 것이라며 사회 안전망 역할을 했다는 입장이다. 현재 국회에선 대형마트에 적용하는 의무휴일 등의 영업 규제를 복합쇼핑몰과 백화점, 면세점 등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온라인 플랫폼의 빠른 성장에 제동을 ...
대형마트를 월 2회 강제 문 닫게 한 유통산업발전법이 시행된 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대형마트 규제는 전통시장 살리기에 얼마나 효과적이었을까. 유통산업법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3부에 걸쳐 알아본다. [편집자주] 대형마트 의무휴무제가 시행된 지 올해 10년째가 됐다. 2012년 1월 17일 공포된 유통산업발전법(이하 유통법)은 지방자치단체장이 대형점포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