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지난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관리방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뉴스1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우물쭈물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은행의 대출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권 사무처장은 지난 26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가계부채 관리 방안’ 사전 브리핑에서 “우리은행이 (전날) 기준금리 인하에 맞춰 대출금리를 선제적으로, 시차 없이 내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장금리에 반영되는데 시차가 있다며 대출 금리를 내리지 않는 은행들을 독촉하고 나선 것이다.

권 사무처장은 “(은행들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관리를 하라고 하면서 금리는 이렇게(내리라고) 이야기하니 진퇴양난인 것을 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금리 반응 속도를 국민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금리 움직임을 보여줬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이 예금금리는 빨리 내리고 대출금리는 천천히 인하하는 것을 불편해하니 즉시 조절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금리는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고 정부가 직접적인 관여를 할 영역은 아니지만, 현재 일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당국이 은행과 소통을 충분히 하면서 조정해 나가겠다”고 했다.

권 사무처장은 지방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는 은행에 가계부채 관리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과 관련해선 “금융권이 합리적인 지방 부동산 수요를 커버하지 못할까 봐 약간의 룸(여유)을 줬을 뿐이지, 그 자체가 빚을 내서 집을 사라는 신호는 아니다”라고 했다.

권 사무처장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인 3.8% 내로 관리하되, 은행권은 한 1~2%대 수준으로 (대출 증가율을) 예상하고, 지방은행은 그보다 높은 5~6%대 정도로 보고 있다. 상호금융권이 2%대 후반~3%대 초반, 저축은행이 4% 수준이 될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