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지난 6일 경기도 포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해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사고였고, 다시 일어나서도 안 될 사고”라며 10일 고개를 숙였다. 이 총장은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에 전념하겠다고 했다.

이 총장은 이날 오전 대국민 사과 발표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할 공군이 국민의 안전에 위해를 가했다. 초유의 오폭 사고로 국민의 평온한 일상을 무너뜨리고, 다치게 하고, 재산 피해를 입힌 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했다. 이어 “노곡리 주민들과 장병들에게도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병상에 계신 분들의 회복을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10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며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뉴스1

앞서 지난 6일 오전 10시 7분쯤 한미 연합·화력 실사격 훈련에 참가한 공군 KF-16 전투기 2대는 공대지 폭탄 MK-82 8발을 사격장이 아닌 다른 곳에 잘못 투하했다. 공군은 이날 전투기 조종사들이 표적 좌표를 잘못 입력하고, 이를 3단계에 걸쳐 재확인하는 절차를 게을리했다고 밝혔다. 지휘관들의 지휘·감독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했다.

군 당국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폭 사고로 중상자 2명 등 총 31명이 부상을 입었다. 피해물 조사에서는 152건의 피해가 접수됐다.

이 총장은 대국민 사과 발표 뒤 기자들과 만나 “병원에 입원한 한 분이 신체적 피해를 입었음에도 ‘조종사가 그런 게 아니지 않냐, 실수로 그런 걸 나무라지 말라’는 말씀을 했다”며 “(저는) 큰 충격을 받았고, 참모총장으로서 모든 책임을 지고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절차와 관행을 바로잡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사고 관련 모든 책임이 본인에게 있다는 의미를 묻는 말에 이 총장은 “자리에 연연한다는 생각은 없다. 저는 사고에 대한 후속 조치와 재발 방지, 그리고 임무 수행과 전투력 창출을 가능하게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런 것들이) 부족하다면 언제든 자리에서 물러날 용의가 있다. 중요한 건 사태를 수습하는 것이고, 차후에 처분받겠다”고 덧붙였다.

이영수 공군 참모총장이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열린 공군 KF-16 전투기 오폭사건 사과 기자회견을 시작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