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이후 군의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군 당국은 “전반적인 상황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10일 밝혔다.
공군은 이날 오전 중간 조사 결과 발표에서 “상황 판단 및 보고 지연에 관해 조사한 결과 미흡한 부분이 다수 식별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선 공군작전사령부 상황실이 오전 10시 7분쯤 오폭 상황을 인지한 뒤 공작사령관에게 보고하기까지 14분이 소요됐다. 공작사는 상급부대에 즉각 보고해야 했지만, 유선 보고가 지연됐고 서면보고도 누락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 관계자는 “10시 7분쯤 상황을 인지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고 보고·조치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체됐다. 전투기의 오폭 상황임을 인지했음에도 민간 피해를 일으킨 탄이 전투기에서 투하된 것이 확실한지 검증하는 데 집중해 오폭 상황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공군은 지난 6일 오전 11시 41분쯤 언론에 오폭 상황을 공지했다. 민가에 폭탄이 투하된 시점은 오전 10시 4분쯤으로 1시간 37분이 지난 시점이었다. 공군 관계자는 “정확한 사실 확인이 우선이라 판단했다. 현장 폭발물처리반(EOD)팀이 현장에 출동해 MK-82 폭탄의 파편을 최종 확인한 뒤에 사실을 공지한 것”이라고 말했다.
공군 관계자는 “상황의 중대함을 고려했을 때 ‘비정상 투하’ 상황이 발생한 즉시 이를 먼저 알리는 것이 더 적절한 조치였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군은 이번 사고를 ‘오폭’이 아닌 비정상 투하라고 부르고 있다. 공군은 상황 판단 및 보고와 관련해 과실이 식별된 관련자들을 법과 규정에 따라 문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