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왼쪽) 외교부 장관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위원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일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이후 당부 및 조치 사항을 담은 1장짜리 종이 문서를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 장관은 13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 현안질의에서 비상계엄 발표 직전 윤 대통령의 집무실을 방문한 시각과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이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그는 “(3일) 오후 8시50분 정도에 도착해 9시쯤 집무실로 안내받아 들어가 보니 네댓 분의 국무위원들이 미리 와 계셨다”며 “앉자마자 비상계엄을 선포하겠다고 대통령님이 말씀하시면서 종이 한 장을 주셨다. 그 속에는 외교부 장관이 조치할 간략한 몇 가지 지시 사항이 있었다”고 했다.

조 장관은 해당 문서를 갖고 나오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재외공관’이라는 단어만 기억이 난다며 “상세한 것은 아니고 서너 줄로 돼 있었다”고 했다.

최 부총리도 윤 대통령에게 종이 문서를 받았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가 이 문서를 받은 시점은 비상계엄 발표 직후였다. 최 부총리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발표하고 들어와서 갑자기 저한테 ‘참고하라’며 접은 종이를 줬다”고 했다.

최 총리는 “당시엔 경황이 없어서 주머니에 넣었고, 이후 새벽 1시쯤 간부회의로 가는 중에 차관보에게 갖고 있으라고 했다”며 “회의가 끝났을 때 차관보가 ‘주신 문건이 있다’고 리마인드(상기) 시켜줬고, 그 때 (문건을) 확인했다”고 했다.

그는 “기억하기로는 비상계엄 상황에서 재정자금을, 유동성을 확보 잘해라(는 내용을 포함해) 한두개 정도 글씨가 써있었다”고 했다. 이 자료를 갖고 있냐는 질문엔 “폐기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결국 계엄 이후 국정을 어떻게 (운영)하라는 내용의 문서들인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국회를 향해 경고성 계엄을 한 것이라면 이렇게 순차적이고 체계적으로 계엄 이후 경제 등을 어떻게 하라는 지시를 줄리 만무하다”며 “계엄 이후에도 대통령은 금방 (계엄 상황을) 끝낼 생각이 아니었던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