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 17일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한 장소가 남측이 발표한 평안남도 온천이 아닌 안주시였다고 주장했다. 평양을 기준으로 안주시는 북쪽, 온천은 서남쪽에 있고, 두 곳은 직선거리로 90㎞ 이상 떨어져 있다. 남측의 미사일 탐지·추적 능력이 허술함을 지적한 것이다. 우리군 당국은 발사 장소가 온천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여정은 19일 조선중앙통신 등에서 발표한 담화에서 “참으로 안됐지만 하루 전 진행된 우리의 무기시험 발사지점은 남조선(한국) 당국이 서투르고 입빠르게 발표한 온천 일대가 아니라 평안남도 안주시의 ‘금성다리’였음을 밝힌다”고 했다.
김여정은 “늘쌍 한미 사이의 긴밀한 공조 하에 추적감시와 확고한 대비태세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외우던 사람들이 어째서 발사시간과 지점 하나 제대로 밝히지 못하는지, 무기체계의 제원은 왜서 공개하지 못하는지 참으로 궁금해진다”고 비아냥댔다.
그러면서 “제원과 비행자리길이(비행거리) 알려지면 남쪽이 매우 당황스럽고 겁스럽겠는데 이제 저들 국민들 앞에 어떻게 변명해나갈지 정말 기대할만한 볼거리가 될 것”이라고 조롱했다. 발언은 윤석열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밝힌 대북정책 ‘담대한 구상’을 비난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군은 지난 17일 북한이 평안남도 온천에서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을 탐지했다고 밝혔다. 김여정의 주장에 대해 군 관계자는 “한미 정보당국의 평가는 변동이 없다”고 밝혔다. 한미가 과학적 정보감시 능력을 토대로 포착한 내용을 분석한 것인 만큼 ‘온천에서 발사됐다’는 평가를 유지한다는 의미다.
군은 당시 순항미사일의 구체적인 제원을 밝히지 않았다. 순항미사일 특성상 최고 속도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속도·고도·비행거리 등 제원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갖는 탄도미사일과는 차이가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순항미사일은 길게는 몇 시간 단위로 계속 비행할 수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추적에 어려움이 있다.
군은 지난 1월 25일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 때도 “내륙에서 상당 부분 비행한 걸로 추정된다”고만 밝혔다. 북한은 사흘 뒤 공개보도를 통해 “9137초를 비행해 1800㎞ 계선의 목표 섬을 명중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