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최근 SK하이닉스(000660)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 수준보다 빨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8일(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를 참관한 후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를 만나고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젠슨 황 CEO는 전날 글로벌 기자 간담회에서 “최 회장과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다”고 했었다.
최 회장은 “그동안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개발 속도보다 조금 뒤처져 있어 상대편(엔비디아)이 더 빨리 개발해 달라는 요구를 했었지만, 최근에는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를 조금 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SK하이닉스가 HBM을 사실상 독점 공급하고 있는 최대 고객사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월부터 HBM 5세대인 HBM3E 8단을 업계에서 처음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10월에는 세계 최초로 HBM3E 12단의 양산을 시작했다.
최 회장은 HBM의 공급 규모 등 엔비디아와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에 대해서는 “이미 다 실무진들이 정해 올해 공급량 등은 다 결정이 됐고, 젠슨 황 CEO와의 만남은 그것을 확인하는 정도의 자리였다”고 전했다.
앞서 젠슨 황 CEO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그래픽 메모리를 만드는지 몰랐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선 “대단한 이슈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최 회장은 “어떤 칩이 어떻게 들어가는 지까지 세세한 부분을 다 외우고 살 수는 없다”며 “나 역시 어떤 제품이나 솔루션이 쓰이는 지 잘 모른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어떤 분야의 인공지능(AI) 사업에 나설 지에 대해서는 “AI 데이터센터 관련 비즈니스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발전소를 만들고 전력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여러 중요한 과제가 있다”며 “이는 SK의 사업 포트폴리오와 많은 연계점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간담회를 마무리하면서 최 회장은 “AI는 선택 사항이 아니며 모든 분야에 걸쳐 변화를 만들고 있다”며 “AI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인프라와 사람 등 기본 환경이 갖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나라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