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 센터 일자리 정보 게시판 앞에서 한 시민이 실업 및 취업 관련 게시판을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3월 고용보험 상시가입자가 통계 집계 이후 역대 3월 기준으로 27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은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3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명이다. 이는 작년 같은 달보다 15만4000명 늘어난 것이다.

이날 고용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3월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는 역대 3월 기준 1998년 이후 27년 만에 최저다. 고용부는 지난 1997년부터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를 조사하고 있는데, 전년 대비 증감률은 1998년부터 집계했다.

업종별로 제조업 가입자는 384만6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000명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의 경우 고용허가제 외국인을 제외하면 1만7000명 줄었다. 제조업에서 내국인 가입자는 감소했다는 것으로, 17개월째 이런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가입자도 1068만8000명으로, 17만명 늘었다.

반면 건설업 가입자자는 20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75만4000명으로, 2만1000명 줄었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좋은 일자리라고 평가되는 제조업 일자리는 현재 계속 감소하고 있다”면서도 “금융이나 정보통신업 등 서비스업에서는 고용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고 했다.

성별 고용보험 가입자는 남성이 853만2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만3000명 늘었다. 여성의 경우 690만3000명으로, 13만1000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60세 이상이 18만4000명 늘어 가장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30대(6만7000명), 50대(5만6000명) 순이다. 반면 29세 이하는 10만4000명, 40대는 4만9000명 감소했다.

3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6000명 늘어난 13만7000명이다. 같은 기간 구직급여 지급자는 69만3000명으로 3만8000명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510억원으로 815억원 증가했다. 구직급여 지급자와 지급액 모두 지난 2021년 3월 이후 4년 만에 최다다.

고용부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를 이용한 신규 구인 인원은 1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달보다 4만5000명 줄었다. 신규 구직 인원은 48만명으로 6만3000명 늘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인 구인 배수는 0.32로, 작년 같은 달(0.48)보다 떨어졌다. 구직자가 10명일 때 일자리는 3개쯤이라는 의미다. 천 과장은 “구인 배수는 3월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