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혼부부 안심주택’을 ▲강서구 방화동 ▲영등포구 신길동 ▲용산구 원효로동 3곳에서 추진한다. 이르면 2029년 첫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신혼부부 안심주택과 관련해 현재 사전자문을 완료했거나 제안서 접수 단계인 사업은 총 3건이다.
개화산역 근처인 강서구 방화동 555-10 인근과 신길역 근처인 영등포구 신길동 95-136 인근은 사전자문 단계까지 완료됐고, 간선도로변인 용산구 원효로2가 72-3 인근은 제안서가 접수됐다.
이들 3개 사업 후보지의 공급 규모는 총 599가구다. 각각 방화동 72가구(공공임대 15가구·민간임대 36가구·분양 21가구), 신길동 298가구(공공임대 113가구·민간임대 149가구·분양 36가구), 원효로동 229가구(공공임대 112가구·민간임대 117가구) 등이다.
신혼부부 안심주택 사업 절차는 사업제안서 접수 및 검토→통합심의위원회 사전자문→사업계획 접수→주민열람 공고 및 관계부서 협의→통합심의위원회 심의→지구지정·승인 및 고시→착공 순이다.
사전 절차를 가장 먼저 마치는 1호 사업은 내년 1월에 착공해 2029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된다. 시는 인허가 기준으로 올해부터 3년간 총 2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신혼부부 안심주택은 신혼부부 주거 안정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고자 서울시가 새롭게 마련한 임대주택 공급모델로, 결혼 7년 이내인 신혼부부와 결혼 예정인 예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한다. 사업 대상지는 역세권 350m 또는 간선도로변 50m 이내의 대중교통 중심지다.
‘임대 70%+분양 30%’ 혼합형으로 공급하되 임대료는 주변 시세와 비교해 민간 70∼85%, 공공 50% 수준이고 분양주택은 시세의 90∼95% 수준에서 분양가가 책정된다. 공공임대의 경우 자녀를 낳으면 20년 거주 후 해당 집을 살 수 있는 우선 매수청구권이 주어지고, 민간임대는 자녀 출산 시 10년 거주 후 집을 시세로 살 수 있는 권한을 준다.
주거 공간에는 선호도가 높은 알파룸과 자녀방을 두고 냉장고·세탁기·인덕션·에어컨 등 빌트인 가전을 설치한다. 공동 육아 나눔터, 서울형 키즈카페 등도 갖춘다.
시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에도 사업 모델이 좋아 양호한 수준으로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며 “신규 사업인 만큼 설명회를 꾸준히 열어 방향성과 효과를 알리고 애로사항을 청취해 사업을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