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하우스 및 농가가 침수된 모습. /조선DB

행정안전부는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민·관 합동 ‘홍수 피해 다발 지역 재난원인조사반’을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반 운영은 지난 2014년부터 10년 동안 홍수로 연평균 13명이 사망하고, 2579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 기후 변화로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홍수 발생 빈도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댐과 하천제방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조사반은 이날 첫 회의를 개최하고, 재난원인조사 계획을 포함한 향후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조사반은 정건희 호서대 교수를 조사반장으로 민간 전문가와 관계기관 과장급을 포함해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조사반은 오는 5월까지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과거 홍수 피해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댐과 하천을 중심으로 철저히 피해 원인을 조사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