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인 최중철 동국대 교수가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수능 출제 원칙과 출제 방향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인 최중철 동국대 교수는 14일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의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제 기본방향 브리핑에서 “교육부의 사교육 경감 대책에 따라 소위 킬러 문항을 배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위원장은 “학교에서 얼마나 충실히 학습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하고자 했다”며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타당도 높은 문항 출제를 위해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은 이미 출제됐던 내용일지라도 문항의 형태, 발상, 접근 방식 등을 변화시켜 출제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또 “국어와 영어 영역은 출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해 출제했다”며 “수학 영역, 탐구(사회·과학·직업) 영역,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고력 중심의 평가를 지향했다”고 했다. 필수로 지정된 한국사의 경우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고도 했다.

수능 시험 영역·과목별 문제와 EBS 수능 교재·강의 연계율은 50% 수준이다. 최 위원장은 “일정 비율(50%)에 해당하는 문항을 EBS 수능 교재 및 강의와 연계해 출제했다”며 “연계 대상은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발견된 교재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감수한 교재와 이를 이용해 강의한 내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