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주간(2월 21~27일) 미국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 넘게 하락한 가운데, 글로벌 자금이 미국을 추가 이탈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종잡을 수 없는 관세 정책 때문이다. 여기에 실업 숫자도 늘어나면서 미국 경기가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도 이 가능성을 부채질하고 있다.
28일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 확대로 집권 1기(2017년 1월~2021년 1월)처럼 미국 달러가 안전자산 역할을 할지 미지수”라며 “무차별적인 관세 정책이 오히려 Non-US(미국이 아닌) 국가들의 경기부양정책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한 달 유예했다. 예정대로라면 다음 달 4일부터 시행되는 것인데, 이달 26일 열린 첫 각료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시기를 4월 2일로 연기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하지만 전날(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여전히 허용할 수 없는 높은 수준의 마약이 우리나라로 쏟아져 들어오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재앙이 미국에 계속 해를 끼치는 것을 허용할 수 없고, 따라서 그것이 중단되거나 심각하게 제한될 때까지 3월 4일에 발효될 예정인 관세안은 예정대로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시행 직전 관세 유예를 다시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글로벌 금융시장은 당분간 트럼프 변동성 리스크를 안고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와중에 미국 경제도 상황을 받쳐주고 있지 않다. 2월 셋째주(16~22일) 미국의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4만2000건으로 전주 대비 2만2000건 증가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박 연구원은 “현 정책 기조가 지속돼 정책 불확실성 리스크가 커진다면 탄탄했던 고용시장마저도 요동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미국 경기 둔화 리스크가 관세 부과의 지속성을 약화시킬 것이란 게 박 연구원의 판단이다. 그는 “물가와 고용시장이 흔들리면 자연히 미국 경기 둔화 리스크 역시 확대될 것”이라며 “미국 주식시장에도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과 수요 측면에서 대외의존도가 높은 미국 경제 구조 특성을 고려할 때 고율 관세는 지속가능한 정책이 아니다.
박 연구원은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미국 경제의 둔화 압력이 더욱 가시화될 경우 (미국의) 정책적 변신, 즉 기업 감세 등 친기업적 정책을 강화할 것“이라며 “최소한 상반기까지는 기다림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신이 있을 때까지 글로벌 자금의 Non-US 선호 현상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