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SK 등 대기업 계열사를 포함한 7개사의 우선주가 무더기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다. 정부가 2년 6개월 전 우선주 주가 변동성이 커지면서 투자자 손실이 우려되자 이를 관리하기 위해 최소 20만주 이상의 상장주식 수를 확보해달라고 했지만, 그럼에도 회사 측이 현재까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아 벌어진 일이다.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는 대신 이익 배당과 잔여재산을 분배할 때 우선권을 가진 주식을 말한다.

서울 남대문로 SK네트웍스 빌딩.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7개 상장회사의 우선주를 상장주식 수 미달을 이유로 관리종목으로 지정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삼성중공업(010140), SK네트웍스(001740), 흥국화재(000540), DB하이텍(000990), 현대비앤지스틸(004560), 남양유업(003920)의 우선주가 지정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소프트센(032680) 우선주가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이 종목들은 올해 상반기(6월 말)까지 상장주식 수를 20만주 이상으로 늘리지 않으면 상장폐지 심사를 받아야 한다.

상장주식 수가 20만주 미만인 우선주들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것은 지난 2020년 6월 금융위원회가 ‘우선주 관련 투자자 보호 강화방안’을 발표하면서 당시 5만주 미만이던 관리종목 선정 기준을 지난해 12월 말까지 20만주로 늘리도록 관련 규정을 바꿨기 때문이다.

당시 우선주 주가가 이상 급등락하고, 보통주와의 괴리율이 확대되면서 우선주 과열 양상이 나타났다. 2020년 6월에만 주가가 100% 이상 상승한 우선주는 9종이나 됐다. 6월 1일부터 17일까지 주가가 1265% 올랐다 18일부터 30일까지 다시 54.2% 주가가 하락했던 우선주도 있었다. 거래대금의 97%가 개인투자자 자금이었기에 투자자 손실을 그대로 두고 볼 수 없었던 금융위는 당시 2개 반기(6개월) 연속 상장주식 수가 5만주 미만이면 상장폐지 대상으로 정했던 규정을 개정해 20만주 미만이면 상장폐지 대상으로 시장 퇴출 기준을 강화했다. 상장주식수가 늘면 유통주식 수도 늘어나고, 거래량도 증가해 주가의 변동성이 완화하기 때문이다.

단, 상장주식 수를 늘리려면 액면분할이나 유상증자를 해야 해서 유예기간을 주고 단계적으로 주식 수를 늘리도록 했다. 강화된 규정은 2021년 10월부터 시행됐는데 1년 후인 2022년 9월까지 1년 동안은 상장주식 수가 10만주 미만이면 관리종목으로 지정, 상장폐지 심사 대상으로 정했다. 2022년 10월부터는 반기 말 기준으로 상장주식 수가 20만주를 밑돌면 관리종목으로 지정했고, 다음 반기 말까지 이를 개선하지 못하면 상장폐지 대상이 된다.

그래픽=손민균

이번에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들은 대책 발표 후 2년이 넘는 유예기간이 있었음에도 주식 수를 늘리지 않은 곳들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선주의 주식 수를 늘려달라는 주문이 많았고 충분한 유예기간이 있었음에도 일부 기업이 이런 조치를 정상적으로 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우선주가 관리종목으로 지정됐음에도 대다수 기업은 주식 수를 늘리는 방안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정부의 강화된 우선주 관리 강화 방침 때문에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라며 “아직 어떤 방법으로 우선주 주식 수를 늘릴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SK네트웍스 관계자도 “향후 상장폐지를 할지 여부에 대해선 방침이 정해지진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