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블록체인]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16% 상승세이다.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 +5.41%, SBI인베스트먼트(019550) +3.14%, 다날(064260) +2.99%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 디지털자산 가격 상승 및 거래량 증가 시 관련주 주가 강세 ✔ 디지털자산 전쟁시 가치저장수단 및 안전자산으로 부각✔ 하반기 금융위 가상자산위원회 출범 예정..디지털자산 현물 ETF 승인 등 논의 계획
디지털자산은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보관하고 유통되는 무형의 자산을 의미.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진 비트코인 등이 있음. 블록체인이란 거래내역 등의 데이터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하여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이더리움, 리플, 이오스 등 다양한 알트코인도 등장. 이들은 기존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고, 나아가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선을 지속하고 있음.
디지털자산 관련주는 디지털자산 거래소, 채굴용 부품, 보안 등과 연관된 사업을 하는 기업 등. 디지털자산 가격이 급등하거나, 거래량이 급증하는 경우 해당 테마에 속한 종목도 부각되는 경향. 특히 비트코인 가격 변동에 민감.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 나스닥 증시 및 달러인덱스와 상관관계가 높음.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점이 변화된 가운데 기관투자자 진입과 스테이블코인(자산연동코인)의 점유율이 높아졌기 때문(출처: 유진투자증권).
미국 테크 기업 및 금융기관들은 디지털시장에 진입. 글로벌 결제서비스 업체 페이팔(Paypal)은 비트코인 등 디지털자산의 결제 서비스를 지원. JP모건은 디지털자산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글로벌 거래소인 코인베이스 등에 은행 서비스 제공. 슈퍼카 제조사인 페라리도 미국 시장에서 디지털자산 결제를 채택한다고 발표. 이를 위해 미국 디지털자산 결제 서비스업체인 비트페이와 제휴.
그 가운데 2024년 1월 10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그레이스케일(GBTC), 블랙록(IBIT), 피델리티(FBTC) 등 11개 자산운용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를 승인. 현물 비트코인 ETF는 투자자들을 위해 비트코인을 직접 보유하는 펀드로, 투자자들은 해당 펀드의 주식을 사고 파는 형태. 신영증권은 현물 ETF 승인으로 인해 헤지펀드, 연기금, 독립투자자문사(RIA) 등 제도권의 대규모 자본의 유입 기회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존재한다고 진단.
국내에서는 올 7월 가산자산법 시행에 따라 금융위가 10월 중 가상자산 시장·사업자 관련 정책 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를 출범할 예정. 가상자산위원회를 통해 디지털자산 현물 ETF 승인 및 법인계좌 허용 등의 현안을 논의한다는 계획.
올해 11월 미국 대선이 예정된 가운데 대선 후보인 트럼프가 디지털 자산에 친화적인 행보를 보여옴에 따라 트럼프 당선 수혜 업종으로 부각. 7월에 트럼프 후보는 미국 테네시 내슈빌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4 컨퍼런스'에서 "나는 비트코인의 팬"이라고 발언. 또한 대선 공략에서도 비트코인을 전략적 국가자산으로 만들어 미국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겠다 제시하기도.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중 누가 당선되더라도 시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옴. 블록체인 투자사 해시드의 싱크탱크 해시드오픈리서치(HOR)는 "이미 대선에서 디지털자산이 주요 의제로 자리 잡은 만큼 타협점을 찾기 위한 (민주당) 나름의 노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2024.10.02).
한편, 디지털자산은 전쟁시 가치저장수단 및 안전자산으로서 부각되기도 함. 비트코인의 경우 자본통제가 없고 보관, 이동이 용이해서 전쟁당사국 국민들이 선호할 수 있는 자산.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시에는 러시아의 달러 자산이 동결되며 비트코인이 더욱 주목 받은 바 있음(출처: NH투자증권). 또한 미국의 국채 수익률 급등과 인플레이션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면서 안전자산으로서도 선호됨. JP모건은 "비트코인이 금과 동일한 수준의 안전자산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고 평가.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5.41%비트코인 거래시스템을 통해 거래시점의 비트코인 시세로 환전(원화)하여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SBI인베스트먼트(019550)+3.14%일본에 상장되어 있는 모회사 SBI홀딩스가 일본에서 가상화폐 거래소 및 가상화페 펀드를 운영.
다날(064260)+2.99%계열사 제프가 메타버스 플랫폼 '제프월드' 출시 및 유틸리티 토큰 '제프토큰' 발행.
FSN(214270)+2.99%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원과 태국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체결. 싱가포르 자회사 식스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폐 식스도 개발.
한화투자증권(003530)+2.53%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 보유.
에이티넘인베스트(021080)+2.25%에이티넘고성장기업 투자조합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짐.
DSC인베스트먼트(241520)+2.25%DSC세컨더리벤처펀드 제2호와 DSCTech밸류업펀드 2호를 통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짐.
코오롱(002020)+2.20%계열사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우리기술투자(041190)+2.17%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지분 7.2% 보유(2023.09.30 기준).
위지트(036090)+1.97%디지털자산 거래소 빗썸 운영사인 빗썸코리아의 지분을 보유한 티사이언티픽의 지분을 보유.
티사이언티픽(057680)+1.89%디지털자산 거래소 빗썸의 운영사 빗썸코리아 지분 보유.
TS인베스트먼트(246690)+1.74%2020년 펀드 방식을 통해 디지털자산 거래소 두나무에 투자 집행한 것으로 알려짐. 구체적인 투자규모는 공개되지 않음.
한컴위드(054920)+0.95%보안 토탈솔루션 업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한컴 에스렛저'를 출시했으며, 금 거래소 인수 후 금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금융 사업도 진행 중.
케이피엠테크(042040)+0.88%디지털자산 거래소인 케이씨엑스의 지분 보유.
엠게임(058630)+0.75%열혈강호 등의 게임 운영. 암호화폐 이오스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게임 사이트 ‘이오스 로얄’을 오픈했으며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 중.
KG모빌리언스(046440)+0.51%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 거래소에 본인 인증과 보안등의 서비스 제공 소식에 부각.

디지털자산·블록체인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2.32%
1개월 등락률 -5.56%
1주 등락률 -2.98%

[이 컨텐츠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봇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