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만 되고 운영되지 않아 넘어간 영상은 없어"
"서버가 中에 있다는 것…중국 정부라고 단정 못해"
"긴급 전수조사 및 중국에도 수사공조 요청해야"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26일 "육군 CC(폐쇄회로)TV에서 중국 쪽 서버로 기밀이 유출되는 악성코드가 발견됐다"며 "모든 감시장비에 해킹 피해가 있는지 긴급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장비가 설치만 되고, 운영은 되지 않은 상태여서 아직 중국으로 영상이 넘어가지는 않았다고 한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우리 군 감시장비에서 중국 서버에 군사기밀을 넘겨주도록 설계된 악성코드가 발견됐다며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하 의원이 국방부에서 제출받은 '해·강안 경계시스템 취약점 점검 결과' 자료에 따르면 안보지원사령부는 최근 중국 업체가 해안 경계 등에 사용하는 감시 카메라를 우리 군에 납품하면서 군사기밀을 몰래 빼돌리는 악성코드를 심은 사실을 적발했다.

하 의원은 "해안과 강안의 과학화 경계 사업으로 전방을 포함한 215대의 CCTV가 설치됐는데 모두 악성 코드가 숨겨져 있었다"며 "CCTV에 찍힌 영상을 군 서버로만 보내야 하는데 중국 쪽 서버로 넘어가게끔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CCTV는 설치만 됐지 지금 운영되고 있지는 않아 다행히 중국 측으로 넘어간 영상은 아직 없다"며 "국방부는 감시 장비 전체를 한 번 살펴볼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하 의원은 "국방부는 '모든 네트워크가 내부망으로만 구성돼서 군사정보 유출 우려가 희박하다'라고 해명했지만, 안보사는 '인터넷 환경만 갖춰지면 2016년 국방망 해킹 사건처럼 내부망이라도 군사 기밀이 충분히 외부에 넘어갈 수 있는 보안 위협'이라고 설명했다"고 했다.

하 의원은 다만 "서버가 중국 북경에 있다는 것이지 중국 정부(의 소행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는 "이 서버를 실제로 조정하는 것이 누구인지는 수사를 통해 확인해야 될 사항"이라며 "중국 측에 대해서도 수사 공조를 요청해야 될 것"이라고 했다.

안보지원사령부가 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산 부품 사용에 따른 직접적 보안취약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CCTV 관리 웹페이지에 중국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IP가 설정돼 있다. 안보지원사령부는 "CCTV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중국 업체가 IP를 임의로 설정한 후 국내에 납품한 것"이라며 "고의성 여부는 확인이 제한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