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선준비위
"또다른 보궐선거 만들면 안돼…현역 출마 지양"
"서울 선거 공약, 전세 대란 등 부동산 우선해야"
"안철수·금태섭, 유연하게 판단"
국민의힘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자로 현역 의원은 최대한 배제하고, 경선에서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대폭 확대해 경쟁력 있는 당 밖 인사를 경쟁시키기로 했다. 당 안에서는 당 밖 영입인사를 국민의힘이 아닌 '시민후보'로 출마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민의힘 간판을 달지 않는 방식으로 중도층 표를 흡수해야 서울시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계산이다.
국민의힘 김상훈 경선준비위원장은 4일 서울 마포에서 열린 '좋은 후보 선정 특별 초청 토론회' 후 기자들과 만나 "서울시장 후보로 현역의원 중에 나올 생각인 분들은 눈에 띄지 않는 것 같다. 부산시장은 현역 의원이 출마를 검토한다면, 당의 의석수 등 사정을 고려해 출마를 지양해야 한다는 것이 지도부의 생각"이라며 "또 다른 보궐선거 요인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경선룰 논의 상황에 대해선 "시민 여론조사 비율을 많이 높여주고 책임당원에게 선택권을 보장하되 결과 반영치는 이전보다 낮추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했다. '시민후보'에 대해선 "외부 인사와 힘을 합칠 필요가 있다면, 거기에 맞춰 유연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서울과 부산 시민들의 의견이 직접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경선 룰을 통해 선택된 후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당에 입당해서 경선 치르고자 하는 분들은 당 경선 룰에 따라 경쟁 치를 수 있도록 만들어 드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별도로 힘을 합해 선거에 임해야 한다면 유연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며 "예외적인 방식까지 유연하게 여지를 만들어 둘 필요는 있다"고 했다.
당내 경선에 당 소속이 아닌 후보를 참여시키고, '무소속 시민후보'를 추대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지난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무소속이던 박원순 후보와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단일화로 박 후보가 출마해 당선됐다. '시민 후보'는 김용태 전 의원이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 간판으로는 서울 유권자 표심을 잡는 데 한계가 있으니 현실을 받아들여 당 간판을 뗀 후보를 내자는 것이다. 한국갤럽의 10월 4주 차 여론조사에서 서울 지역에서 국민의힘 정당 지지율은 16%를 기록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39%)과 무당층(32%)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김 위원장은 "당 밖에 계시더라도 아마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해 서울시장 본선에 도전하고자 하는 분들이 분명히 계시리라고 생각한다"며 "가능하면 그 분들도 본인들의 입장을 일찍 표명해서 경선이 이뤄지면 좋지 않겠나"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금태섭 전 민주당 의원 등 외부 인사들과 접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별도 채널을 통해 의견을 나누는 경선준비위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 경선준비위는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8 대 2' 또는 '9 대 1'로 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 당헌·당규에서는 경선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일반 유권자 50%, 당원 50%로 정한다. 최소 30%이상 여론조사 비율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김무성 전 의원은 여론조사 비중을 100%까지 높이는 '국민경선제'를 제안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100% 오픈해서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준비위에서 공식적으로 논의된 바는 없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시장 선거공약에 대해선 "재개발이나 재건축, 전세 대란 등 부동산 대책에 대한 부분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다른 공약도 있겠지만 부동산 공약은 국민의힘에서 상당히 비중을 두고 다뤄야 될 우선순위 공약으로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