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2차 가해 행동에 매우 유감"
"성범죄는 부정부패 아니라는 것"
김은혜 "피해자라 부르기 싫어 집단창작 시작"
미래통합당이 15일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A씨를 더불어민주당⋅청와대⋅서울시 등이 '피해호소인'이라고 지칭하는 것에 대해 "민주당이 피해자라고 부르고 싶지 않아 집단 창작을 시작했다"고 했다. 통합당 김은혜 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주당은 피해자를 피해자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 당"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김 대변인은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호소인', 당권주자라는 이낙연 의원은 '고소인', 진상조사를 떠밀려 하겠다는 서울시마저 '피해 호소 직원'이라는 희한한 말을 만들어 가해의 돌림노래를 부르고 있다"며 "오거돈 전 시장 때도, 안희정 전 지사 성추행 사건 때도 '피해자'라 칭하며 피해 여성에게 사과했던 민주당이 유독 이번만 그렇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민주당 내에선 '성추행은 부정부패가 아니다'라고 당헌당규를 개정할 움직임까지 인다고 한다"며 "절규하는 약자를 짓밟는 도덕의 붕괴, 상식의 파괴를 저지르더라도 권력의 단맛을 놓지 않겠다는 오만을 지금 온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박 시장을 고소한 A씨를 두고, 범여권에서는 '피해호소인 '고소인'이라고 부른다. 공식석상에서 박 시장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성희롱' '성추행'이라는 단어도 쓰지 않는다. 여성계와 여권은 그동안 사실 관계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피해자'의 구체적인 피해 주장이 있으면 피해자라고 불러왔다. 이 때문에 여권이 박 시장 사건에 '피해호소인'이라는 단어를 고집하는 것은 피해자의 증언이 '일방적 주장에 불과하다' 의도가 깔려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사과에 대해 "들끓는 여론에 못이겨 영혼없는 반성을 한 것 같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이 오늘에야 사과의 입장을 밝혔다"라며 "사과하는 과정에서도 피해자라고 하지 않고 '피해 호소인'이라고 했다"며 "또 다시 2차 가해적인 행동에 나온 점은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통합당은 민주당이 내년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 공천을 고려하는 것에 대해서도 '내로남불'이라고 비판했다. 주 원내대표는 "민주당 당헌에는 당에 소속된 선출직이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직위를 상실해서 열리는 재보궐 선거에는 후보자를 추천하지 않는다고 돼 있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도 당 대표 시절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며 "하지만 벌써 민주당 내에서는 성범죄는 부정부패가 아니다. 당헌을 개정해서 공천하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게 정말 반성하는 당의 태도인지 한심할 따름이다. 국민께서 민주당의 이율배반, 내로남불을 정확하게 보고 심판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민주당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김부겸 전 의원은 이날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후보 공천과 관련해 "필요하면 당헌을 개정하겠다"고 했다. 민주당 당헌에는 재보궐선거에 귀책사유가 자당에 있으면 해당 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도록 돼 있다. 김 전 의원의 주장은 당헌대로라면 두 지역은 후보를 내면 안 되지만, 4·7 보궐선거가 2022년 대선 전초전으로도 불리는 만큼 당헌을 개정해서라도 후보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