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北 편들기'
송영길 외통위원장 "대포로 안쏜 게어디냐"
윤건영 "전 정권, 北 의심 빌미 줘"
김홍걸 "美 설득해 대북제재 완화해야"

북한이 16일 오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지난 13일 담화에서 "쓸모없는 북남(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한 지 사흘만이다. 그런데 이날 북한이 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 직전까지 더불어민주당 주요 인사들은 '북한 감싸기'로 일관했다. 민주당 소속 송영길 외교통일위원장은 폭파 소식이 알려진 직후 기자들에게 "(대)포로 쏘지 않은 게 어디냐"라며 북한을 두둔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 송영길 의원(외교통일위원장), 김홍걸 의원

민주당 윤건영(초선·서울 구로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와 대한민국 풀체인지’ 외교안보 분야 토론회에 토론자로 참석해 "한반도 평화는 진보·보수, 여야가 따로 없는 목표이지만 지난 시기 정권이 바뀌면서 전 정부의 합의를 휴짓조각으로 만들었던 것이 잘못"이라고 했다.

북한의 도발이 지난 박근혜·이명박 정부의 잘못이라는 취지다. 문재인 정부 초기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 의원은 지난 4·27 판문점 선언, 9·19 평양공동선언 등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 실무를 총괄했다. 윤 의원은 "2019년 벌어진 일련의 과정에서 우리가 주도적으로 상황을 제어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했던 것이 뼈 아프다"고 했다.

그는 북·러 정상회담이 열리던 때 한미연합훈련을 진행하고, 국군의 날 첨단무기를 공개했던 것을 언급하며 "상대(북한) 입장에서는 9·19 군사합의 이행 의지를 의심하게 되는 빌미가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고 했다.

윤 의원은 "탈북자 출신 의원 탄생도 북한 입장에서는 큰 메시지였을 것"이라고 했다. 북한의 최근 강경 대응의 원인이 북한의 잘못이 아니라 탈북자 출신인 미래통합당 태영호(서울 강남갑·초선), 지성호(비례대표·초선) 의원이 당선된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인 김홍걸(초선·비례대표) 의원은 같은 날 CBS라디오에 나와 북한의 강경 발언에 대해 "꼭 그렇게 험하게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나 야속한 생각도 든다"면서도 "지금의 김정은 정권은 굉장히 현실적이고 냉정하게 당장의 위기를 타개해 나가겠다는 생각으로 뭉쳐 있어서 어쩔 수 없다"고 했다.

김 의원은 "저희 아버지께서 살아계시다면 결코 (북한을) 압박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 대북정책의 과감성이 부족했다"고 했다. 이어 "유엔 제재 하에서도 가능한 것은 다 시도했어야 한다. 또 (대북제재 완화와 관련) 미국을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의원은 북한이 대남 강경 대응의 원인으로 지목한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서도 "북한 인권이나 대북 민주화로 보기 어렵다"며 "선정적인 전단들"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1호 법안으로 '대북전단 살포금지법'을 발의했다.

국회 외통위원장인 송영길 의원은 이날 오후 외통위 전체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한 것에 대해 "(대)포로 폭발을 하지 않은 게 어디냐"라며 "북한이 예고한대로 했다. 빈말이 아니라는 걸 보여주려고 그런 것 같다"고 했다.

이런 와중에 서호 통일부 차관은 이날 강화도를 찾아 탈북민 대북전단 단속 점검에 나섰다. 서 차관은 강화경찰서, 인천해경 강화파출소, 삼산파출소 등을 차례로 방문해 담당자들을 격려한 뒤 탈북민 단체에 대한 빈틈없는 대응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