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 55분 '선거 의혹 해소 공개 시연회'
"투·개표기 무선 랜카드 없어 외부 통신 안돼"
"봉인 서명 다를 수 있어…참관인 교대 가능"
"중국인 개표사무원, 부정선거 증거 아니다"
"프린터는 와이파이 기능 기술적 제거해 사용"
"빵상자 투표지 보관은 사실…사전투표율 예상보다 너무 높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8일 오후 경기 과천시 중앙동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에서 ‘부정선거 의혹 해소 공개 시연회’를 열었다. 4·15 총선 45일이 지났지만 미래통합당 민경욱 의원 등 일각이 제기하는 '부정투표' 의혹이 가라앉지 않자 아예 투⋅개표 시연회를 연 것이다.
중앙선관위는 지역구 후보 4명, 비례대표 35개 정당, 총 1000명이 사전투표한 상황을 가정해 2시간 55분 동안 보안 체계를 설명하고, 투·개표 과정을 시연한 후, 보안 체계를 공개한 후 질의 응답 시간을 가졌다. 선관위 직원 45명이 참여해 투·개표 과정을 직접 보여줬다.
투·개표 장비는 모두 분해해 공개했다. 직원들은 모터 등 부품을 일일이 보여주며 통신장치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분류기에 장착된 노트북을 떼어내 덮개를 열었다. 무선 랜(LAN)카드는 보이지 않았다. 선거 결과에 대한 의혹 제기로 선관위가 공개 시연회를 연 것은 18대 대선(2013년 1월 )이후 7년 만이다.
중앙선관위는 "해킹으로 선거를 조작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며 "법원 결정에 따라 빨리 재검표를 해 진실을 밝히고 싶다"고 했다. 하지만 투표지 '삼립빵 상자' 보관, 봉인지 유출 등에 대해선 '보관 상자 부족' '직원 실수' 등을 인정했다. 중국인을 개표사무원으로 위촉한 것도 사실이었다. 하지만 선관위는 "중국 영주권자가 개표사무원으로 참여한 것이 부정선거의 증거는 아니다"라고 했다.
중국 화웨이 장비로 해킹? (X) → 무선랜 없는 폐쇄망
일각에서 사전투표 장비가 중국 화웨이 제품이라서 중국으로 데이터가 전송된 뒤 조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민경욱 의원은 중국인 프로그래머가 자기만 알아볼 수 있게 배열한 숫자를 찾아내 이진법으로 푼 뒤 문자로 변환시켰더니 'FOLLOW_THE_PARTY'라는 구호가 나왔다며 "중국과 내통한 희대의 선거 부정"라고 했다.
선관위는 선거를 앞두고 조달청 공개 경쟁입찰을 통해 LG유플러스에서 선거용 유·무선통신장비를 사들였지만 화웨이 장비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했다. LG유플러스가 화웨이 5G장비를 사용한 것은 맞는다. 하지만 선관위는 사전투표통신망은 인터넷과 단절된 폐쇄망이기 때문에 해킹을 할 수 없다고 했다.
선관위는 이날 각종 투개표 장비를 모두 분해해 보여줬다. 부품을 하나하나 설명했다. 이날 공개된 개표 장비엔 무선 랜카드 등 무선통신장치는 보이지 않았다. 또 선거 때는 내부 폐쇄망을 사용한다. 다만 개표 상황을 인쇄하는 프린터는 무선랜을 제거하면 작동이 안 돼 와이파이 기능을 기술적으로 없애고 사용했다고 했다. 선관위는 관련 의혹을 제기한 2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관내 사전 투표 인원 1분당 12.6명? (X)→ 2분당 1명
부천 신중동 관내 사전투표 인원이 1만8210명으로 비정상적으로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실제 투표 시간 24시간을 감안하면 1분당 12.6명이 투표했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관내 투표자 기준 1분당 12.6명이 투표했다는 것은 투표지 발급기 1대, 기표소가 1곳 있다고 계산한 수치라고 했다. 당시 투표소에 발급기 23대(관내 15대, 관외 8대), 기표소 27곳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면 1분당 0.5명, 2분당 1명이 투표를 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봉인지 서명 다르니 투표함 바꿔치기? (X) → 참관인 교대 가능
투표함에 붙은 봉인지 3개에 참관인 서명이 달라서, 투표함을 바꿔치기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있었다. 선관위는 참관인은 투표 과정에 교대할 수 있다고 했다. 교대하는 과정에서 투표 개시 때 투표함 양옆에 붙이는 봉인지 2개와 투표가 끝난 뒤 투표함 맨 위에 붙이는 봉인지의 참관인 서명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봉인지가 뜯길 경우 다시 붙여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참관인 서명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2차원 QR 바코드에 개인 정보? (X) → 선거법 따른 것
사전투표용지에 표시된 2차원 바코드엔 선거명, 선거구명, 관할선관위명, 일련번호 등 4가지 정보를 담는다. 이 바코드는 개표 상황을 보고할 때 기본정보를 잘못 입력하는 것을 막기 위해 20대 총선 때부터 사용하고 있다. 선관위는 법에 규정된 정보 외에는 다른 정보는 포함될 수 없다고 했다. 막대형 바코드는 숫자 '1'처럼 보여서 사전투표제가 도입된 2014년부터 2차원 바코드를 사용해왔다. 선관위는 21대 국회에서 이 부분을 명확히 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중국인 개표사무원 위촉? (੦) → "선거부정의 증거 아니다" 반박
하지만 중국인 개표사무원 사례는 실제 있었다. 서울 은평구선관위에 개표사무원 총 542명이 참여했으며 이 중 62명은 지역 의용소방대원이었다. 그 가운데 1명이 한국 영주권을 갖고 있는 중국 국적자였다. 그러나 중앙선관위는 "영주권자가 개표사무원으로 참여한 것이 선거 부정의 증거가 될 수 없다"고 했다.
삼립빵 상자 CCTV 없는 체력단련실에 투표지 보관 (੦)
부정 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투표지 일부가 '삼립 빵' 상자 등에 보관된 사진을 부실의 증거라고 주장한다. 실제 해당 선관위는 사전투표율이 예상보다 높아지면서 투표지 보관 상자가 부족해졌고, 개표사무원에게 간식으로 제공한 빵 상자를 투표지 보관 상자로 대체 사용한 것으로 확인했다. 법 위반은 아니지만 투표지 관리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부적절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통합당 민경욱 의원이 부정투표의 근거라고 흔들었던 경기도 구리시 투표용지 6장 역시 부실관리의 대표적 사례다. 민 의원은 폐쇄회로(CCTV)가 없는 체력관리실에 임시 보관했던 투표용지가 자신의 손에 들어왔다고 했다. 선관위는 투표용지 탈취로 보고 검찰에 고발한 상태다. 민 의원 측은 이날 투표용지를 건넨 참관인 이모씨를 '공익제보자'라고 공개했다. 이씨는 기자회견에서 "누군가 부정선거의 증거라고 손에 쥐어준 것을 민 의원에게 건넸다"며 "난생 처음 참관인으로 참여했는데, 투개표 과정을 보고 우리나라가 미개국같이 느껴졌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