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국민 이용당하지 말아야"
"열린민주당 통합은 당연"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이 15일 정의기억연대(옛 정대협) 출신 윤미향 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자와 관련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기부금 유용 의혹에 대해 "공격이 도를 넘었다"고 했다. 우 의원은 이날 오전 BBS 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정의연에 대한 털기, 윤 당선자에 대한 공격은 무엇을 비판하는 것인지 목표조차 상실됐다고 본다"며 이렇게 말했다.
정의연 이사장 출신인 윤 당선인은 지난 7일 위안부 피해 생존자인 이용수(92) 할머니가 비판 회견을 열면서 논란이 일었다.
우 의원은 "시민사회단체의 회계가 좀 더 정확히 기록되고 투명해져야 되지만 아주 부정을 저지른 것처럼 몰아가는 이런 방식의 비판은 옳지 않다"며 "회계 기록상 오류가 있다고 이걸 마치 돈을 횡령한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우 의원은 전날 민주당 의원 당선자 14명이 '윤 당선자에 대한 의혹 제기는 부당하다'며 낸 성명서에도 이름을 올렸다.
우 의원은 이어 "윤 당선자가 정의연 모든 것을 대표하는 분이 아니다"라며 "정의연에서 윤 당선인이 기여했던 여러 역할들에 대해서도 평가하면서 무엇을 잘못했는지 지적해 주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용수 할머니를 부추겨서 윤 당선자를 공격하도록 만든 사람이 있다면 그것 또한 불순하다"며 "이런 일에 언론과 국민들이 이용당하지 않아야 된다"고 했다.
우 의원은 열린민주당과 합당 가능성에는 "당연히 통합이 원칙"이라며 "같은 계열의 정당들이 여러개 나눠져 있는 것을 그 자체로 바람직한 일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극성 친문(親文) 지지층을 타깃으로 한 열린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의 제2비례정당을 자처했지만, 민주당 비례연합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경쟁구도를 형성하면서 충돌했다. 그러나 총선 이후에는 양당 합당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우 의원은 "이해찬 대표께서는 선거 과정에서 열린민주당과는 합당하지 않겠다는 공언을 여러번 하셨기 때문에 말을 바꾸기 어려우실 것"이라며 "8월 전당대회가 열려 당 지도부가 새로 들어서면 그때 검토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념과 지향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당 지도부가 새로 들어서면 열린민주당과의 통합도 자연스럽게 추진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독립유공자 가족을 만난 자리에서 헌법에 5⋅18, 6월 항쟁의 정신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한 부분에 대해선 "바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것보다 원론적인 말씀을 하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여야의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서는 "4년 전 제가 야당 원내대표일 때는 국회 법제사법위회 위원장직을 여당에게 양보했는데 어떤 고정된 관행이 있었던 것이 아니다. 그때 그때 달라지는 상황"이라고 했다. 민주당과 통합당은 국회 본회의 직전 법안의 '게이트키퍼(문지기)'역할을 하는 법사위 위원장직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