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집행 근거인 협정 부재로 인한 무급 휴직"
"양국에 협정 타결 필요성 지속적으로 강조하겠다"

주한미군 페이스북 동영상 캡처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한국인 근로자의 무급휴직이 시행된 1일 "무급휴직은 우리가 전혀 기대하고 희망했던 일이 아니다"면서 "유감스럽고, 상상할 수 없는 가슴 아픈 날"이라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이날 오전 주한미군 페이스북에 '무급휴직 한국인 직원에게 전하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방위비분담금 특별협정(SMA)이 타결되지 않아 주한미군 한국인 직원 절반 가량에 대해 오늘부터 무급휴직이 실시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무급휴직을 해야 하는 상황이 안타깝고 우리 직원들을 매우 그리워할 것"이라며 "이러한 힘든 상황 속에서도 전투 준비태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무급휴직 통보를 받은 직원들만큼 현 상황에 따른 영향을 실감할 사람은 없기 때문에 감히 어려운 시기라고 말할 수 없다"며 "우리는 힘든 시기 동안 그들을 지원할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또 "부분적 무급휴직 조치를 해제하기 위해 양국 정부에 방위비분담금 협정 타결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강조하겠다"며 "무급휴직은 한국인 직원 개개인의 업무 성과와 헌신이나 행동을 반영한 게 아니라 사전에 편성된 예산을 집행할 수 있게 하는 분담금 협정의 부재로 인해 초래됐다"고 했다. 이어 "그들은 우리의 직원일 뿐 아니라 동료이자 팀원이며 가족의 일원"이라며 "한국인 직원들은 임무 수행과 한미동맹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인원"이라고 했다.

SMA 체결 지연으로 이날부터 주한미군 전체 한국인 근로자 8600여명의 절반가량인 4000여명이 무급휴직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양측 실무 협상단이 SMA를 잠정 타결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무급휴직이 장기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