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이 주로 겪는 성인병으로 분류되던 당뇨병이 20대 청년층을 파고들고 있다. 젊은층의 식생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성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19일 “만성질환인 당뇨병 발병 연령층이 40~50대에서 20대까지 내려가는 현상이 뚜렷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20대 당뇨병 환자는 4년 전보다 약 47% 늘었다. 그런데 이들 중 80%는 본인의 발병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청년층의 당뇨병 증가 원인은 액상과당을 과도하게 섭취한 결과로 생긴 비만”이라고 지적했다. 액상과당은 포도당과 함께 혈당을 높이는 주범이다. 설탕보다 저렴하고 단맛은 75%나 더 강해 음료수, 과자, 잼, 통조림 제조에 쓰인다.
신 교수는 “액상과당을 많이 섭취하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렙틴 호르몬이 적게 분비돼 과식 위험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당뇨병을 예방하려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채소 등을 골고루, 적당히, 규칙적으로 먹어야 한다”며 " 탄수화물은 정제되지 않은 채로 먹어야 식이섬유가 풍부해 위장관 내용물의 점성을 높여 혈당 상승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백질은 살코기나 생선, 두부에 많고, 양질의 지방은 생선, 식물성기름, 견과류 등에 풍부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