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급순위 134위인 중견 건설사 이화공영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올해 들어 중소·중견 건설사의 도산이 이어지고 있다.
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화공영은 전날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이화공영은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경영 정상화 및 계속기업으로서의 가치보전을 위해 회생절차를 신청했다”며 “서울회생법원에서 당사가 제출한 회생절차개시 신청서 및 첨부서류 등의 심사를 통한 회생절차개시 여부의 결정이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화공영은 1956년에 설립된 건설사로, 경찰청 기동대 청사, 상명대 종합강의동 등을 지었다. 최근에는 한미사이어스의 제2 한미타워 신축 공사에도 참여했다.
작년 기준 영업손실(개별)은 41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기록한 영업손실(10억원)보다 폭을 확대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이화공영의 부채비율은 전년동기 대비 34.82%포인트(p) 늘어난 163.44%다. 이 회사는 감사증거자료 제출이 지연돼 외부 감사를 마무리 짓지 못하면서 사업보고서 제출도 하지 못한 상태다.
이화공영뿐만 아니라 건설 경기가 침체되면서 올해 들어 중소·중견 건설사의 도산이 줄을 잇고 있다.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시공능력평가순위 58위)과 대저건설(103위), 삼부토건(71위), 안강건설(138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벽산엔지니어링(180위) 등 6곳이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