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서울 시내 한 연립·다세대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전국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60%를 넘었다. 지방에서는 다세대·다가구 등 비(非)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0%를 넘었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로 집계됐다. 월세 비중이 60%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신규 전·월세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2월을 기준으로 2021년 41.7%를 기록한 뒤 2022년 47.1%, 2023년 55.2%, 지난해 57.5%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 비중은 수도권이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하는 동안 지방은 5.4%포인트 늘어난 63.5%를 기록했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5.2%다.

아파트보다는 빌라 등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 증가세가 가파르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올해 1∼2월 44.2%로 1년 새 2%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이 43.8%, 지방은 45.4%다.

같은 기간 비파아트 월세 비중은 76.3%로 전년 대비 5.6%포인트 증가했다.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76.1%, 수도권 73.2% 순이었다.

이처럼 월세화가 가속화된 것은 전세사기 사태 이후 빌라 전세 기피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지방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임대인들이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세입자들의 월세 부담은 늘어나고 있다. 전월세전환율은 지난 1월 기준 수도권의 경우 5.9%, 지방은 6.9%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월세를 얼마 받을지 계산하는 비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