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시 한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 /연합뉴스

경기 이천지역이 8개월째 미분양관리지역 대상에 포함된 가운데 평택지역도 신규로 지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3월 미분양관리 지역 선정공고’에 따르면 경기 이천시·평택시, 강원 속초시, 전남 광양시, 경북 경주시 등 전국 5개 지역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우선 이천의 미분양관리지역 지정과 관련해선 ‘미분양 해소 저조’와 그에 따른 ‘미분양 우려’가 이유로 꼽혔다.

지난해 8월부터 미분양관리 지역에 편입된 이천지역의 경우 미분양세대수가 1000세대 이상이며 도내 시·군 중 미분양세대수가 30% 이상 증가 또는 분양 승인 실적이 공동주택 재고 수의 5% 이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평택지역은 계속된 ‘미분양 증가’에 따른 ‘미분양 해소 저조’ 및 ‘미분양 우려’ 등 세 가지 악조건에 모두 포함됐다. 특히 평택은 최근 3개월간 미분양 세대수가 계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때 2018년 5월~2020년 6월 미분양관리지역 대상이었던 평택지역은 4년 10개월 만에 재지정됐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주택정책과가 집계한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평택지역은 지난 1월 31일 기준 6438세대로 확인됐다. 앞서 2024년 12월31일 4071세대, 11월30일 2497세대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61세대를 기록했던 2024년 1월 31일 당시와 1년 후를 비교하면 약 18배 급증한 수준이다.

이천지역 내 미분양 주택은 지난 1월 31일 기준으로 1873세대다. 마찬가지로 지난해 12월 31일 1911세대, 11월 30일 1600세대 등 미분양해소 기미가 보이지 않는 중이다.

도내에서도 1000세대를 훌쩍 뛰어넘는 지역도 평택과 이천 단 두 곳이다. 지난 1월 31일 기준 도내 미분양 세대 수는 1만 5135세대며 이 가운데 평택은 42.5%, 이천은 12.3%를 각각 차지했다.

미분양 주택 가구 수가 1000가구 이상인 지역 가운데 미분양 증가,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 등 4개 요소 중 1개 이상을 충족한 시군구는 ‘미분양관리 지역’으로 지정된다. 이천 및 평택지역의 미분양관리지역 대상 재지정 여부 심사는 다음 달 9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