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택 가격이 약·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난해 말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고점 심리’를 중심으로 거래시장 위축, 가입조건 완화 등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2월 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12일 조선비즈가 한국주택금융공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주택연금에 새로 가입한 사람은 3259명으로 전 분기(2471명) 대비 31.9% 늘었다. 지난해 1분기(2474명) 및 2분기(2601명)와 비교해도 4분기 신규 가입자 수가 가장 많다.

지난해 4분기 지역별 신규 가입자 수를 보면 경기가 123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806명)과 부산(256명), 인천(176명), 대구(151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주택연금 가입자 100명이 넘는 지역 가운데 4분기 신규 가입자 증가 폭이 가장 큰 곳은 충남(54.5%)과 경북(45.5%)이었다. 이어 인천(40.8%)과 경기(39.8%), 대전(35.2%), 서울(30.8%)도 가입자 증가 폭이 컸다.

주택연금은 주택을 담보로 매월 일정 금액을 평생 연금처럼 수령하는 일종의 역모기지론이다.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시점의 시세 등을 기준으로 연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집값 상승세가 꺾이기 시작한 지난해 4분기를 ‘고점’으로 판단하고 가입한 사람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KB부동산 기준 지난해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은 8월과 9월에 2%까지 육박하며 절정에 달했고, 10월(1.31%)과 11월(1.54%) 들어 소폭 하락하더니 12월(0.63%) 들어 급격히 낮아졌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11월 1369건으로 전월(2205건) 대비 38%나 줄면서 거래시장 동결 조짐이 뚜렷해지던 때였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집값이 낮은 상태에서 상승 압력이 높다고 생각되면 주택연금에 가입하지 않지만, 지금 가격이 높고 앞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되면 가입이 늘어난다”면서 “지난해 말 주택연금 신규 가입자가 늘어난 것은 이러한 고점 심리가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거래시장 동결로 현재 살고 있는 비싼 주택을 처분하고, 적당한 집으로 이동해 노후자금을 마련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점도 요인이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매매와 취득, 이사 등의 과정에 드는 비용이 과거보다 확연히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이제는 급매가 아니면 집을 팔기도 어려운 시장 국면”이라면서 “집 한채만 가진 노년층 입장에선 주택연금 가입을 더 선호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2020년 12월 주택연금의 가입 연령과 대상 주택 기준이 완화된 영향까지 더해 앞으로도 주택연금 가입자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보는 경우가 많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대상 주택 가격이 시가 9억원에서 공시가격 9억원으로 내려가고, 주택연금 연령도 만 55세로 낮아졌다”면서 “지금의 시장 안정기에서 크게 상황이 변화하지 않는 한 주택연금에 대한 수요는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