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노선이 들어설 것이란 기대감을 품고 쾌속 주행하던 안산에 부동산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선이 들어설 가능성이 낮아지며 부동산 시장에 변화가 생길 지 모르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비슷한 기대감이 있었던 김포의 경우 GTX-D가 ‘김부선(김포-부천선)’으로 축소 발표된 이후 한파가 몰아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안산은 김포와 사정이 조금 다르다고 보는 상황이다.
2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GS건설 컨소시엄과 포스코건설 컨소시엄,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지난 21일 각각 제출한 GTX-C 사업제안서의 윤곽이 나오는 가운데 안산 상록수역에 GTX-C 노선의 추가 정차역이 더해질 가능성은 크게 줄어든 상태다.
3개 컨소시엄 사업자들은 국토교통부가 고시한 정차역 외에 추가 정차역을 제안했다. 왕십리역과 의왕역, 인덕원역은 3개 사업자 모두 포함시켰다. 3개역 중 인덕원~동탄선, 월곶~판교선과의 철로 간섭이 문제가 되는 인덕원역을 제외한 왕십리역·의왕역 신설은 확정적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하지만 GTX-C노선 연장 가능성이 거론되던 안산 상록수역은 포스코건설에서만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로 포스코건설이 선정되지 않는 한, 안산 연장은 사실상 백지화되는 것이다.
안산은 올해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 중 한 곳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비 5월 셋째주 아파트값 상승률은 상록구가 14.92%, 단원구가 14.06%로 전국 시·군·구 중 각각 2위와 5위에 해당한다. 일주일 만에 단원구는 0.72%, 상록구는 0.67% 오르며 최근까지도 부동산 시장에 열기가 이어진 상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같은 안산의 상승세 뒤에 GTX-C 호재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이런 상황에서 GTX-C의 안산 연장이 무산될 경우 안산 부동산 가격이 다소 조정받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보통은 교통 호재가 가격에 선(先)반영되는 경향이 있다”면서 “특히 GTX는 광역교통망의 핵심인데 무산되면 아파트값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도 “지연되는 것은 투자자들도 어느 정도 감안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겠지만, 무산은 어느 정도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GTX 기대가 좌초된 김포 지역의 아파트 시장은 크게 요동쳤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2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를 열고 GTX-D 노선을 김포~부천으로 공개했다. 김포·인천 검단 일대 주민들은 GTX-D 노선이 강남과 직결될 것으로 보고, 하남까지도 연장될 수 있으리라 기대했는데 이같은 국토부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는 중이다.
주민들은 국토부 앞에서 매주 시위를 하는 것을 비롯해 일부 주민들의 경우 삭발식까지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자 여당과 국토부는 GTX-D 노선을 연장·수정하는 방안을 다시 검토하되, 오는 6월 확정 고시되는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는 일단 ‘김부선’을 그대로 반영하기로 했다.
그러나 재검토 기류에도 김포 아파트 시장은 이미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4월 들어 김포 아파트값은 매주 0.06~0.08% 가량 올랐는데 GTX-D 노선 공개 직후인 4월 넷째주부터 0.01~0.02% 보합세 수준으로 떨어졌다. 장기동 ‘한강신도시푸르지오’ 전용 59.94㎡의 경우, 지난달 5억원(14층)에 매매됐지만 지난 19일에는 같은 층 매물이 4억6000만원까지 하락해 거래됐다.
다만 안산의 조정 폭은 김포보다는 작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고준석 교수는 “김포와 안산은 다르다고 봐야한다”고 했다. 고 교수는 “김포의 경우 GTX-D가 아니면 대체 교통망이 김포 골드라인 뿐이어서 GTX 노선 축소의 파급력이 크지만, 안산은 지금도 4호선과 수인·분당선이 있고 앞으로도 신안산선과 서해선의 개발이 예정됐다”면서 “물론 GTX가 들어서면 좋겠지만, 보완해 줄만한 철도 교통이 갖춰져 있어 교통 환경 때문에 침체가 올 정도의 충격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국토부는 1단계 사전적격성심사(PQ), 2단계 가격·기술부문 심사를 거쳐 다음달 18일 GTX-C 노선 우선협상대상자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