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당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 파악을 먼저 한 후 판단하는 게 여당의 역할이라는 취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권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주최 토론회’에서 ‘12월 3일로 돌아가면 계엄 당일 국회의 해제결의안 표결에 어떻게 할 건가’라는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권 위원장은 계엄 선포 당시 당사에서 본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표결 결과를 지켜봤다.

그는 “우리가 (대통령 측의 입장을) 일단 들어보고 (대통령이) 발표한 게 다라면 그에 대해 우리도 반대 입장을 표시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도대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우리가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건 여당으로서 할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12월 3일 갑자기 비상계엄이 선포됐다고 해서 처음엔 가짜뉴스인 줄 알았다. 놀랐다. 대통령이 계엄 선포한 것들이 방송으로 나오는데 그것만으로는 납득이 안 됐다”면서도 “모두가 합리적으로 행동한다는 걸 전제로 하고 봐야 하기 때문에 (선포 방송) 외에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이야기 못하는 이유가 있는지를 여당이라면 책임있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저도 (당사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통령 비서실부터, 관련 있을 장관들에게 전화해 봤는데 전화가 안 됐다”고 덧붙였다.

권 위원장은 또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직후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입니다. 국민과 함께 막겠습니다”라고 메시지를 낸 데 대해서도 “당시에 한 대표가 저와 똑같은 정보만 갖고 있었을 텐데 바로 위헌, 위법이라고 이야기한 부분에 대해선 조금 성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라고 했다.